남해안 양식 굴 집단 폐사… 어민들 깊어진 ‘주름’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강원식 기자
수정 2021-12-10 02:13
입력 2021-12-09 17:58

통영 등 407곳 원인 모를 피해 신고
수확기에 봉줄 올리면 껍데기만 덜렁
수산과학원 현장조사, 규명 2~3주 걸려

이미지 확대
통영의 한 굴 양식장에서 어민들이 봉줄을 끌어올리자 폐사한 굴이 줄줄이 매달려 있다. 통영 굴수하식 수협 제공
통영의 한 굴 양식장에서 어민들이 봉줄을 끌어올리자 폐사한 굴이 줄줄이 매달려 있다.
통영 굴수하식 수협 제공
우리나라 굴 최대 생산지인 경남 남해안에서 원인 모를 굴 집단 폐사가 발생해 어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9일 경남도에 따르면 굴 최대 양식장이 있는 통영시 앞 바다를 비롯해 고성군, 거제시, 창원시 등의 해안에서 지난 10월부터 굴 폐사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경남도는 지난달 4일부터 이달 1일까지 굴 폐사 피해 신고를 받은 결과 통영 233건, 고성 90건, 거제 80건, 창원 4건 등 어가 407곳이 피해를 신고했다. 신고된 피해 면적은 440㏊로 금액은 79억 2400여만원에 이른다. 굴 양식장이 있는 경남 시군 가운데 사천시와 남해군에서만 피해 신고가 없었다.

경남 남해안 굴 양식장은 통영 312곳을 비롯해 모두 801곳, 3474㏊에 이른다. 한해 25만 7000t의 굴을 생산해 275억 2000만원의 수입을 올린다.

어민들과 통영 굴수하식 수협에 따르면 굴 폐사가 발생한 양식장에서는 굴 포자를 매달아 바닷속에 넣어둔 봉줄을 끌어 올리면 알맹이는 없고 껍데기만 달려 올라오는 실정이다. 어민들은 본격 수확철에 굴이 집단 폐사하는 것은 드문 일이라고 입을 모은다. 어민들은 올 여름 바닷물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진 탓에 굴 먹이생물인 영양염류 등이 부족해 굴이 제대로 성장하지 못한 것으로 추정할 뿐이다. 폐사원인이 고수온 등 자연재해로 판명되면 피해 복구를 위한 보상을 받을 수 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경남도와 합동으로 집단폐사 원인을 밝히기 위해 굴 양식 피해 현장 조사를 하고 시료를 채취해 분석하고 있다. 경남도는 시료 분석 등 폐사원인을 규명하기까지는 2~3주가 걸린다고 설명했다. 경남도는 굴 집단폐사가 전체 양식량 중 10%는 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수협에 따르면 현재 굴 가격은 10㎏ 기준 12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슷하다. 이달초에는 14만원 선에 판매되기도 했다.



백삼종 경남도 해양수산국장은 “굴 폐사가 고수온 등 자연재해 때문으로 밝혀지면 해양수산부에 피해 복구비 지원을 요청해 피해 어가를 최대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통영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2021-12-1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