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킴’ 놓쳤다… 빙상장 손놨다… 경북, 말로만 동계스포츠 메카

김상화 기자
수정 2022-02-10 16:18
입력 2022-02-09 20:38
컬링대표팀 연봉 갈등… 강릉행
동계 인프라 육성 약속도 어겨
“예산·실행방안 없는 졸속 행정”
9일 경북도 등에 따르면 안동 등 북부를 동계스포츠 메카로 육성하기 위해 7대 전략과제를 마련, 추진하기로 했다. 동계스포츠 인프라 확충을 비롯해 ▲컬링 선수 사기 진작 ▲컬링 대회 및 전지훈련 유치 ▲비인기 종목 육성을 위한 제도 마련 및 네트워크 구축 등이 핵심 사업이다. 이는 평창동계올림픽 당시 ‘영미~!’ 열풍을 불러온 경북체육회 소속 한국 컬링 대표팀(일명 ‘팀킴’)이 사상 최초로 은메달을 획득하는 쾌거에 힘입었다.
이를 위해 도는 국제경기 개최가 가능한 종합빙상장을 안동·예천 도청신도시 5만㎡ 부지에 건립해 컬링, 아이스하키, 스케이트, 피겨 종목을 연계해 육성하기로 했다. 또 의성 컬링센터·청송 클라이밍장·봉화 레일봅슬레이·영양 어트랙션스케이트장을 중심으로 북부권 동계스포츠 벨트를 만들어 관광산업과 연계해 나가기로 했다.
하지만 지금까지 추진된 게 없다. 평창동계올림픽 폐막 이후 각종 경기시설이 사후 활용 방안을 찾지 못해 혈세만 낭비하는 애물단지로 전락한 게 사업 추진을 가장 어렵게 했다는 분석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종합빙상장 등 동계스포츠 인프라 시설을 갖추고 운영하는 데 막중한 재정부담이 우려돼 현재로선 고려치 않고 있다”고 말했다.
또 팀킴이 지난해 3월 경북체육회와 연봉 협상에 실패한 뒤 강릉시청으로 소속을 옮겼다. 경북도가 다른 시도 선수 연봉보다 낮은 경북 컬링팀 연봉 인상 약속을 지키지 않았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경북도 체육행정에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도내 한 체육회 관계자는 “도의 체육행정이 ‘아니면 말고’ 식의 한건주의 형태가 되풀이되면서 신뢰가 땅에 떨어지고 있다”면서 “진지한 반성과 함께 책임행정 구현이 절실히 요청된다”고 지적했다.
안동 김상화 기자
2022-02-1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