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정 전반 ESG 도입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수정 2022-05-06 00:43
입력 2022-05-05 20:24

기후예산제 모든 분야로 확대
투자·출연기관 평가에도 적용

최근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이 사회적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서울시도 시정 전반에 ESG를 적극 도입하기로 했다.

5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3개 본부·국에 시범 도입한 ‘기후예산제’를 올해부터 시정 전 분야로 확대해 내년도 예산에 반영한다. 기후예산제는 사업별로 온실가스 배출 영향을 분석해 온실가스 감축이 예상되는 사업은 확대하고, 온실가스 배출이 예상되는 사업은 축소하거나 배출 상쇄 방안을 마련하는 제도다.

시는 또 매년 시행하는 26개 투자·출연기관 경영평가에도 ESG 관련 환경 지표를 신설한다. 에너지 사용량, 폐기물 발생량 등을 평가 지표로 설정하고 평가 결과를 기관장과 직원 급여에 반영한다.

공공기관은 에너지·자원 투입과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 발생을 최소화하는 녹색제품 의무 구매도 확대한다.

시는 녹색제품 구매심사 기준을 현행 70만원 이상에서 50만원 이상으로 강화한다. 또 시 녹색제품 구매액의 71%를 차지하는 건설·토목 분야는 녹색제품 의무 구매 비율을 지난해 32.6%에서 2026년 7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조희선 기자
2022-05-06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