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뛰는데 쌀값만 역주행… 사상 최대 폭 하락

서미애 기자
수정 2022-07-05 02:18
입력 2022-07-04 17:52
80㎏ 18만원 턱걸이… 15% 급락
1년 새 재고 57% 늘어 100만t 육박
작년 쌀도 쌓여… “시장격리 필요”
4일 전남도와 농협전남지역본부에 따르면 전남지역 쌀값은 80㎏당 18만 2136원으로, 지난해 평균(21만 4138원)보다 14.9% 떨어졌다. 쌀값 데이터를 낸 이래 45년 만의 최대 하락폭이다.
반면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지난 5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5.4% 올랐다. 이는 2008년 8월(5.6%) 이후 13년 9개월 만에 가장 높다.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률도 4.2%다. 감자값은 32.1%나 올랐고 배추는 24% 올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집계한 전국 산지 쌀 가격 추이를 보면 지난해 수확기 20㎏ 기준 5만 3535원이었던 쌀 가격이 지난 3월에는 4만 9747원이었다. 가격이 내려갔지만 산지 유통업체의 쌀 판매량은 지난해보다 오히려 10% 이상 줄었다.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누적 쌀 판매량은 51만 4000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만 7000t(11.6%) 감소했다.
이에 따라 쌀 재고량은 크게 늘었다. 지난 4월 말 기준 산지 쌀 유통업체의 재고량은 95만 9000t에 달해 지난해와 비교해 56.9%나 증가했다.
박광은 한국쌀전업농전남연합회장은 “매년 소모적 논쟁을 피하기 위해서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며 “시장격리제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9월에 시장격리 여부를 결정하고 공공비축미 수매와 동시에 시장격리곡 수매도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귀현 농협전남본부 양곡자재단장은 “현 상태가 지속된다면 올해 농협의 새 쌀 수매가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에 3차 시장격리가 필요하다”며 “궁극적인 쌀 수급 안정을 위해 논 타작물 재배사업의 부활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광주 서미애 기자
2022-07-05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