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이랑 송강이 광주에서 가족 상봉?… 대통령기록관 고심 중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홍행기 기자
홍행기 기자
수정 2022-11-17 01:17
입력 2022-11-16 19:02

새끼 있는 우치동물원 의사 표시
분양 아닌 대여 형식으로 검토 중

이미지 확대
문재인 전 대통령이 기르다 정부에 반환한 풍산개 곰이(앞쪽)와 송강이 지난 10일 오후 대구 북구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 동물병원 앞뜰에서 산책하고 있다. 대구 연합뉴스
문재인 전 대통령이 기르다 정부에 반환한 풍산개 곰이(앞쪽)와 송강이 지난 10일 오후 대구 북구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 동물병원 앞뜰에서 산책하고 있다.
대구 연합뉴스
문재인 전 대통령이 정부에 반환한 풍산개 2마리 처리 방안을 놓고 대통령기록관의 고심이 깊어 가는 모양새다. 광주 우치동물원이 풍산개를 맡겠다는 의사를 전달한 지 1주일이 지났지만 대통령기록관에선 아직도 결정을 미루고 있어서다. 풍산개를 둘러싼 논란이 확대되면서 정부가 부담을 느끼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16일 광주시와 대통령기록관에 따르면 문 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으로부터 선물로 받아 기르던 풍산개 ‘곰이’와 ‘송강’의 처리 방안이 이날 현재까지도 결정되지 않았다.

기록관 측은 최근 들어 ‘문 전 대통령이 반환한 풍산개들을 맡아 키울 수 있는지’를 광주와 서울, 인천, 대전 등지의 시립동물원에 문의했다. 하지만 우치동물원 측이 지난 10일 ‘광주에서 키우겠다’는 의사를 정식 통보했음에도 정부 결정이 미뤄지면서 또 다른 처리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다.

기록관 관계자는 “광주 우치동물원만이 (풍산개를 맡아 기르겠다는) 긍정적인 답변을 해 왔으며 이 같은 상황을 행정안전부 등에 보고해 놓은 상태”라며 “현재 경북대 동물병원에서 관리하는 곰이와 송강의 건강 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동물원에 보내는 것 이외에 또 다른 처리 방안을 검토하는지에 대해 “실무적인 차원에서 지자체 동물원에 맡기는 방안을 검토했다”며 “상부의 최종 결정을 기다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우치동물원 측은 광주에서 맡아 키우는 방안이 결정되면 사육공간 확보 및 사육자 선정 등 1주일여의 준비 기간을 거쳐 곰이와 송강을 넘겨받을 예정이다. 현재 우치동물원은 곰이와 송강의 새끼 중 한 마리인 ‘별’을 2019년 8월 분양받아 기르고 있어 곰이와 송강까지 온다면 풍산개 가족이 3년여 만에 상봉하는 셈이다.



다만 곰이와 송강은 대통령기록물인 만큼 분양이 아닌 대여 형식으로 오게 된다. 우치공원 관리사무소는 도난, 분실, 부적응 등의 가능성에 대비해 곰이, 송강을 특별 관리할 방침이다. 적응 기간을 지나서도 일반인 관람은 제한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우치공원 관리사무소는 전망했다.

광주 홍행기 기자
2022-11-17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