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마늘’ 도약 날개

김상화 기자
수정 2023-01-17 02:21
입력 2023-01-17 02:21
‘의성 마늘’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지로… 영천, 7월 공판장 준공

경북도는 지리적표시제에 등록된 ‘의성마늘’이 국비 사업으로 추진하는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사업 대상으로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이 시범사업은 노동집약·관행농법 중심의 재배 방식을 주산지 중심의 데이터 기반 영농으로 전환하고 스마트영농 기반을 확산하기 위해 농림축산식품부가 시행한다.
이에 따라 올해부터 3년 동안 국비와 지방비 등 모두 245억원이 투입된다. 의성군 사곡면 일대 82㏊ 생산단지에 자동 관수시설, 무인 농기계, 드론 등의 첨단장비를 도입하고, 농기계·시설장비·재배기술을 시험할 수 있는 실증단지도 조성한다. 영농 관련 정보를 수집·분석해 데이터 기반 영농을 실현하게 하는 통합 플랫폼도 설치한다.
의성군은 국내 한지마늘 재배면적(4628㏊)의 22%(1034㏊)를 차지하는 최대 생산지로, 의성마늘이란 이름으로 맛과 품질 면에서 그 우수성이 알려졌다.
도 관계자는 “고령화 등에 마늘 재배면적이 갈수록 감소하는 의성마늘의 위기를 극복하고 정밀농업·디지털 농업대전환이라는 새로운 성장 동력까지 확보하게 됐다”고 말했다.
영천시와 신녕농협은 오는 7월까지 14억 5000만원 등 총 25억원을 투입해 마늘 공판장을 건립한다. 도내 처음이다.
영천은 신녕면과 화산면을 중심으로 2021년 기준 1583농가가 1222㏊에서 2만 5000t 정도의 마늘을 생산했다. 국내 수요량의 8~10%를 차지하는 경북 1위, 전국 2위의 난지형 대서마늘 주산지다.
마늘 공판장이 개장하면 생산-가공·유통-판매가 한곳에서 이뤄지는 마늘 산업 거점 도시로의 도약이 예상된다.
시는 또 지난해부터 2025년까지 4년간 30억원을 투입하는 영천마늘 농촌융복합산업지구 조성사업을 추진한다. 영천마늘을 테마로 한 마늘융복합센터 건립과 청년 창업몰·직판장 및 체험장 건립, 지리적표시제 등록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영천은 2021년 한방진흥특구에 마늘 분야를 추가한 한방·마늘산업특구 및 경북도 마늘 주산지 지정 고시를 받았다.
의성·영천 김상화 기자
2023-01-17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