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시내버스 준공영제로

김정호 기자
수정 2023-02-09 01:06
입력 2023-02-09 01:06
외곽 직장인 통근택시 운행도
시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대중교통 마스터플랜을 8일 발표했다. 마스터플랜은 올해부터 2028년 이후까지 총 3단계로 나뉘어 진행된다.
1단계는 운수사인 춘천시민버스가 누적된 채무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어 시민이 불편을 사고 있는 시내버스의 운영체제를 올해 상반기 준공영제로 바꾸는 것이다. 준공영제는 국토교통부 가이드라인에 따라 시가 노선 조정 권한을 갖고 운수사는 운영 성과에 대한 이윤을 받는 방식의 운영체제다.
1단계에는 모든 마을버스 기·종점을 중앙시장으로 바꾸고 외곽 지역 직장인을 위한 통근택시를 운행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시는 오는 4월 중 시의회 동의를 받아 준공영제 도입을 위한 조례를 만들고 운수사와 협약도 체결할 계획이다.
육동한 시장은 지난해 6·1 지방선거 운동 기간 시내버스 서비스 개선을 강조했고, 취임 직후 바로 대중교통 마스터플랜 수립에 착수했다.
2024~2028년 추진되는 2단계는 시내버스·마을버스 노선 개편과 마을버스·통근택시 운영을 총괄하는 대체 교통수단 통합운영센터 설립, 마을버스 전기저상버스 도입, 시내버스 차고지 추가 확보 등을 골자로 한다. 시 관계자는 “버스 노선을 효율화하고 스마일콜과 희망택시, 바우처택시 등의 유사 사업을 통합할 것”이라며 “버스 노선 개편은 이용자 수요 분석을 통해 유연성을 확보하고 재정 지원의 무분별한 증가를 방지하는 게 기본 방향”이라고 말했다.2028년부터는 운수사를 2~3개로 늘려 서비스 경쟁체계를 만들고 춘천형 교통패스를 도입하는 3단계가 시행된다.
춘천 김정호 기자
2023-02-09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