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페이퍼 ‘김’ 대반전…K푸드 대표 수출품 우뚝

서미애 기자
수정 2023-02-27 01:45
입력 2023-02-27 00:42
김 산업 진흥구역 유치전 치열
12년간 수출액 6배 이상 성장
해수부, 김 산업 진흥구역 공모
올 3곳서… 2027년 11곳 확대
해남·고흥 등 전국서 7곳 신청

해남군 제공
김 산업 진흥구역을 지정하는 이유는 발전 가능성이 큰 지역을 정해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다. 지정된 곳에는 50억원씩 총 150억원을 지원한다. 2027년까지 11곳으로 늘릴 방침이다. 김 산업 진흥구역은 김 양식 면적이 1000㏊ 이상이거나 마른 김 가공시설이 5곳 이상 있어야 한다.
전국 기초지자체 중 이 요건을 충족하는 곳은 전남에서는 목포·고흥·장흥·해남·무안·완도·진도·신안 등 8곳, 충남에서는 서천 1곳, 전북에서는 군산·부안 등 2곳이다. 올해 유치 신청을 한 곳은 해남·고흥·장흥·완도·진도·신안, 서천 등 7곳이다.
해남군 황산면에서 친환경 지주식 유기인증 김을 생산하는 5개 어촌계는 2014년 12월 전국 최초로 유기수산물 인증을 받았다. 지난해 966㏊에서 물김 2만 708t을 생산해 37억원의 소득을 올렸다.
고흥군의 2022년산 물김 생산량은 전국 생산량의 27%에 이르는 14만t으로 전국 1위를 차지했다. 마른 김도 2716만 4000속(톳·100장)을 생산해 전국의 18% 차지, 1위를 달성했다. 명실상부한 국내 최대 김 주산지인 셈이다.

서양에서는 바다의 잡초 또는 블랙 페이퍼라고 불리는 김은 한국과 일본, 중국 등 세 나라에서 주로 생산된다. 최근에는 한국산 김이 미국과 유럽에서 인기를 끌면서 세계적인 K푸드로 떠올랐다.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2022년산(2021년 10월~2022년 5월) 우리나라 김 생산량은 1억 5172만속으로 2021년산에 비해 1.6% 늘었다.
전남은 지난해 1억 1663만속을 생산했다. 전남은 전국 생산량의 70% 정도를 차지한다. 전북과 충남은 지난해 작황이 좋지 않았지만 부산의 지난해 생산량은 740만속으로 1년 전보다 30% 정도 늘었다.
해양수산부는 김 수출 10억 달러를 목표로 종자 개발부터 생산, 가공 등 김 산업 전반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최근 12년간(2010 ̄2021년) 수출액은 1억 1000만 달러에서 6억 9000만 달러로 급증했다. 수출량도 9600t에서 3만t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수출국은 총 114개국이며 주요 수출 국가는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다. 이들 나라로의 수출액이 전체의 66%를 차지한다.
서미애 기자
2023-02-27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