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비엔날레 ‘박서보 상’ 논란… 예술인들 “독재정권 미술 수장”

서미애 기자
수정 2023-04-13 00:40
입력 2023-04-13 00:40
지역 예술·시민단체 ‘상 폐지’ 촉구
비엔날레 측 “예술가 응원 위한 상”
박 작가 “시대 외면 안 했다” 해명

예술인과 시민 모임 제공
광주비엔날레재단은 지난해 2월 박서보 작가와 ‘광주비엔날레 박서보 예술상’ 후원 협약식을 했다고 12일 밝혔다. 협약에 따라 최근 개막한 제14회 광주비엔날레부터 박서보 예술상을 만들어 박 작가가 기부한 100만 달러(약 10억원)를 재원으로 참여 작가를 대상으로 수상자를 선정해 2042년까지 20년간 박서보 예술상(상금 10만 달러)을 줄 계획이다.
그러나 지역 예술인과 시민들은 이 상을 폐지하라고 촉구했다. 민족미술인협회광주지회를 비롯해 예술인과 시민사회로 구성된 ‘광주비엔날레 박서보예술상 폐지를 위한 예술인과 시민모임’은 최근 입장문을 내고 ‘광주 정신’으로부터 태동한 광주비엔날레의 창립 취지에 박 작가가 그간 보여 준 행보가 맞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4·19 혁명에 침묵하고 5·16 군부정권에 순응했으며 군사독재 정권이 만든 관변 미술계 수장”이라며 “올해 갑자기 등장한 박서보 예술상은 광주비엔날레의 창립 취지를 무색하게 하고 정체성을 심각하게 훼손하기 때문에 즉각 폐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광주비엔날레재단은 입장문에서 “박서보 예술상은 개인의 명예욕을 위한 게 아닌 예술가들을 응원하기 위한 상”이라고 강조했다. 재단은 “광주비엔날레는 대한민국 미술 진흥과 민족 문화 창달에 이바지하고 국제적 문화교류를 확장시키는 것”이라며 “앞으로 다른 기관들이 미술계 발전을 위해 후원 의사를 밝힌다면 그에 걸맞은 다양한 시상이나 작가 지원이 이뤄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작가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1950년대 반국전 선언을 언급하며 시대를 외면하지 않았다”면서 “더 많은 작가가 나서서 후원하고 그의 이름을 빌려 상을 만드는 게 비엔날레를 키워 나가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제2, 제3의 상이 만들어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가는 게 발전적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광주 서미애 기자
2023-04-13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