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함평에” 전남 “무안에”…군공항 이전 후보지 또 진통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홍행기 기자
홍행기 기자
수정 2023-04-26 01:25
입력 2023-04-26 01:25

市 “유치 제시한 함평 지원 검토”
道 “민·군 묶어 무안공항 옮겨야”
지역 여론조사 과반 “이전 반대”

이미지 확대
광주군공항
광주군공항
특별법 공포로 순항이 기대됐던 광주군공항 이전사업이 이전후보지 선정을 둘러싼 논란이 확산하면서 진통을 겪고 있다. 광주시는 군공항 유치에 적극적인 전남 함평에 눈길을 주지만 전남도는 국제공항 활성화를 위해 무안에 무게를 두면서 시도 간 입장이 엇갈리고 있어서다.

광주시는 25일 군공항 이전지역에 대한 지원책과 관련해 함평에서 제시한 20여개의 요구사항 가운데 실현 가능성이 높고 파급효과가 있는 10여개 사업을 선정해 세부 지원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 사업에는 대규모 산업단지 조성, 소음완충구역 소득증대사업 활용 방안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시의 이 같은 움직임은 이르면 다음달 주민여론조사를 거쳐 유치의향서를 제출하기로 한 함평군에 대규모 지원 의사를 분명히 밝힘으로써 적극적인 찬성 의견을 끌어내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하지만 전남도는 ‘광주민간공항과 군공항의 패키지 이전’을 사실상 공식화한 상태다. 무안 국제공항 활성화를 위해선 광주 민간공항의 무안 이전이 필수적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내부적으로는 ‘광주 군공항 무안이전’ 지지 의사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지난 24일 기자간담회에서 “군공항 이전에 따른 유불리를 논의할 장이 마련돼야 한다”며 “무안군이 나서서 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전남도와 국방부가 나서서 직접 논의하겠다”고 밝히는 등 무안군민을 설득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쳤다. 이어 “군공항 이전을 논의할 수 있는 여론 숙성 기간이 필요하다”며 “원활한 진행을 위해 국방부에 유치의향서 접수 중단을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갤럽이 지난 18일부터 20일까지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무안에서는 군공항 무안 이전 반대가 64.4%, 찬성이 30.8%를 기록했다. 함평에서도 군공항 함평 이전 반대가 53.8%, 찬성이 37.3%로 조사되는 등 양 지역 모두 반대 여론이 절반을 넘어섰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함평 ±4.3% 포인트, 무안±4.4% 포인트다.

홍행기 기자
2023-04-26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