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양문형 전기 저상버스 첫 도입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강동삼 기자
강동삼 기자
수정 2023-05-25 01:12
입력 2023-05-25 01:12

BRT ‘분리식→섬식 정류장’ 전환
2026년까지 시내버스 489대 교체

이미지 확대
국내 최초로 양문형 전기버스를 생산한 우진산전이 지난 2일 개막한 제주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에서 첫선을 보인 버스 모습.
국내 최초로 양문형 전기버스를 생산한 우진산전이 지난 2일 개막한 제주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에서 첫선을 보인 버스 모습.
제주도에 국내 최초로 양문형 전기 저상버스가 도입된다.

제주도가 보행환경·가로경관 개선, 버스운영체계의 개선과 빠르고 정확한 운행을 위해 양문형 저상버스를 국내 최초로 도입한다고 24일 밝혔다. 양문형 버스 운행에 맞춰 간선급행버스체계(BRT)상의 중앙차로제가 기존의 ‘분리식’에서 ‘섬식’으로 전환된다.

‘섬식 정류장’은 양방향으로 운행되는 버스가 하나의 정류장을 이용해 승하차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양문형 버스는 일반 도로에서는 평소와 같이 우측의 문을 이용하게 되고, 섬식 정류장에서는 좌측의 문으로 승하차하게 된다. 정류장 폭도 기존보다 2m(6m→4m)가량 줄일 수 있어 인도와 가로수 조정 최소화로 보행환경과 가로경관을 개선할 수 있다.

도는 섬식 정류장 버스중앙차로 공사와 양문형 저상버스 도입을 병행해 2025년 상반기에 서광로를 우선 개통하고, 2027년 동광로~노형로 구간 완전 개통을 구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시 권역 시내버스 총 682대 중 489대를 양문형 저상버스로 교체한다. 내년 96대를 우선 도입하는 데 이어 2025년 234대, 2026년 159대가 차례로 도입될 예정이다.

이상헌 도 교통항공국장은 “양문형 저상버스 도입을 위해 버스 제작업체를 조사해 협의한 결과 제작·공급 의사를 확인했다”면서 “국토교통부 등과 긴밀한 협의를 갖고 획기적인 버스운영체계를 도입해 대중교통 활성화를 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글·사진 강동삼 기자
2023-05-25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