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착 흰개미 이어 외래종까지… 전북, 목조문화재 보존 비상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설정욱 기자
설정욱 기자
수정 2023-05-25 01:12
입력 2023-05-25 01:12

문화재 절반 넘는 132곳 큰 피해
나무 속 번식… 갉아먹어도 몰라
“예방 방제·후속 방충 체계 필요”

이미지 확대
지난 2014년 전북 완주군 위봉사에서 흰개미 섭식 흔적이 발견돼 해당 지자체에서 방부·방충제 도포를 진행했다. 완주군 제공
지난 2014년 전북 완주군 위봉사에서 흰개미 섭식 흔적이 발견돼 해당 지자체에서 방부·방충제 도포를 진행했다.
완주군 제공
매년 토착 흰개미로 인한 피해가 잇따르는 가운데 최근 마른나무를 갉아먹는 외래 흰개미가 발견되면서 목조 문화재 보존에 비상이 걸렸다.

24일 전북도 등에 따르면 도내에 207곳(국가 지정 27, 도 지정 180)의 목조문화재가 보존돼 있다. 이 가운데 지난해 발표된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 132곳(국가 지정 26, 도 지정 106)에서 흰개미 섭식 흔적이 발견됐다. 목조문화재 절반 이상이 흰개미 피해를 본 것이다. 문화재 돌봄사업단과 해당 지자체는 피해 건축물에 방부·방충제를 도포하고 군체 제거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흰개미 방제사업을 진행했다.

‘흰개미떼’는 날개를 달고 공중에서 결혼비행을 하며 암수가 짝짓기를 한 뒤 주변의 목재 안에 보금자리를 만들고 번식한다. 밤낮을 가리지 않고 나무 내부로 파고 들어가 갉아먹지만 겉으로는 확인할 수 없다. 목조 건물에 깊숙이 침투한 흰개미를 찾는 데는 ‘지킴이견’으로 불리는 삽살개가 활용되고 있다. 최악의 경우 건물·시설물이 붕괴될 때까지 이를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정부는 이날 서울 강남구 논현동 주택에서 나온 외래 흰개미가 주변 지역으로 확산한 흔적은 없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추가 외래종이 언제 또 발생할지 알 수 없는 만큼 방역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전문가들은 흰개미 피해 자체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적 방제 기술의 도입과 후속 방충 조치가 적시에 이뤄질 수 있도록 상시 모니터링 및 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김시현 학예연구사 등은 국립문화재연구원 학술지를 통해 “문화재마다 건축적 특성이나 주변 지형, 온도나 상대습도 등 환경적 요인이 각기 다르므로 상황에 따라 예산 등을 고려해 지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한 방제 구역을 설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북도 관계자는 “문화재 돌봄사업단 등과 함께 외래 흰개미 등장에 대비해 분석을 통한 맞춤형 대비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주 설정욱 기자
2023-05-25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