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르신 안부 챙기고 위험신호 포착하고… 경기 ‘챗GPT 말벗’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신동원 기자
신동원 기자
수정 2023-06-07 01:28
입력 2023-06-07 01:28

19일부터 ‘노인말벗서비스’ 시작

AI상담원이 주1회 전화 걸어줘
필요하면 복지서비스와 연계도
1800명 대상 16일까지 1차 접수
이미지 확대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독거노인들에게 안부를 묻고 말벗이 돼 주는 서비스가 도입된다.

경기도는 19일부터 생성형 AI인 챗GPT 등을 활용해 독거노인 등에게 안부를 묻고, 필요시 복지서비스까지 연계하는 ‘노인말벗서비스’를 시작한다고 6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도가 국내 포털사와 제휴해 생성형 AI를 도정에 접목하면서 시행하게 됐다.

노인말벗서비스는 AI 상담원이 주 1회 대상 노인의 휴대전화로 전화를 걸어 자연스러운 대화를 나누는 것이다. 발신 번호는 도에서 지정한 번호가 표시되며 전화를 받지 않으면 최대 3회까지 전화를 건다. 3회 모두 전화를 받지 않으면 담당 직원이 직접 전화하고, 그래도 전화가 안 되면 읍·면·동 복지서비스 담당자가 직접 거주지를 방문해 상황을 확인한다.

단순 안부 전화뿐만 아니라 대화 중 ‘살기 어렵다’, ‘외롭다’ 등 정서적·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하거나 위기 징후가 감지되면 담당 직원이 직접 전화상담을 진행한다. 필요시 ‘경기도 긴급복지 핫라인’으로 연결해 복지서비스를 연계하도록 했다.



도는 사전 발굴 대상자 1800명을 대상으로 7일부터 16일까지 1차 신청을 받는다. 신청자가 많으면 독거노인을 우선 선정한다. 이후엔 65세 이상 노인은 언제든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다. 도는 지속적으로 대상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신동원 기자
2023-06-07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