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새만금신항 배후부지 ‘국가 재정사업 전환’ 총력전

임송학 기자
수정 2023-08-01 23:21
입력 2023-08-01 23:21
이차전지 관련 기업 유치 활기
비즈니스센터 등 관련시설 필요
도 “건설사업 민자유치 어려워”
1일 전북도에 따르면 새만금신항은 2040년까지 총사업비 3조 2476억원을 투입해 5만t급 부두 9선석과 배후부지 451만㎡를 조성할 계획이다. 2선석은 3년 후인 2026년 개항을 앞두고 있다.
그러나 2027년 이후 건설되는 부두와 배후부지는 민간자본으로 건설할 계획이어서 차질이 예상된다. 이용률이 낮은 신항만의 특성상 민자 유치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새만금신항의 배후부지 건설 계획을 국가 재정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게 전북도의 입장이다. 글로벌 경기 침체와 높은 금리로 민자 유치 여건이 최악인 상황이어서 배후부지 개발이 장기 표류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에서다.
김관영 전북지사는 지난달 전북을 방문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새만금신항 배후부지를 국가 재정사업으로 추진해 줄 것”을 건의했다. 항만공사가 없는 항구는 국가재정 100%로 배후단지를 개발한다는 ‘항만 배후단지개발 종합계획의 투자 재원 분담 기준’도 제시했다.
더구나 개항이 3년도 남지 않은 새만금신항은 항만의 행정적 지원기관인 세관, 출입국관리소, 검역소, 해양수산청 설치 계획조차 없는 실정이다. 이들 기관이 들어서려면 비즈니스센터를 건설해야 하지만 배후단지 건립에 묶여 계획을 수립하지 못하고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최근 새만금지구에는 이차전지 관련 업체 등 기업 유치가 활기를 띠고 있어 새만금신항 배후부지 건설이 시급해졌다”면서 “새만금신항 배후부지 건설사업은 민자 유치가 어려운 만큼 국가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시급히 재정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주 임송학 기자
2023-08-02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