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신규 소각장 건립 본궤도… 이달 중 타당성조사 용역 돌입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홍행기 기자
홍행기 기자
수정 2023-09-05 02:07
입력 2023-09-05 02:07

전망대 갖춘 랜드마크 조성 계획
후보지 5곳 중 1순위 연말쯤 결론
내년 확정… 2030년 가동 목표

광주시가 오는 2030년 가동을 목표로 추진 중인 신규 소각시설 조성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

광주시는 하루 처리용량 600t 규모의 신규 소각시설 후보지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타당성조사 용역을 이달 중 시작한다고 4일 밝혔다.

주민대표와 전문가, 시의원, 공무원 등 총 14명으로 구성된 입지선장위원회와 광주시가 주관하는 이번 타당성조사 대상지역은 지난 6월 23일 광주시에 유치의향서를 제출한 6곳 가운데 1곳을 제외한 5곳이다. 광주시 5개 자치구에서 1곳씩이다.

광주시는 3개월가량의 타당성조사를 거쳐 올해 말 후보지별로 우선순위를 정한 뒤 곧바로 1순위 후보지를 대상으로 전략영향평가를 실시한다. 이후 4개월간의 평가를 거쳐 특별한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내년 상반기 1순위 후보지를 최종 후보지로 결정·고시한 뒤 기본계획 설계에 착수할 예정이다.

기본계획에는 소각시설 조성의 기본방향과 함께 체육관, 도서관 등 해당 지역에 들어설 ‘맞춤형 시설’ 등이 포함된다. 이와 함께 하루처리 용량 600t을 소각하기 위한 소각로를 2개로 할지 3개로 할지에 대해서도 기본계획에 제시할 방침이다.

광주시는 국내 최고의 친환경자원회수시설로 꼽히는 경기 하남유니온파크를 기본모델로 삼고 있다. 지하에 소각시설을 갖추고 소각 시 발생하는 열을 주변시설에 공급하는 것은 물론 지상에 다양한 문화·체육시설을 조성한 점에서 ‘광주에 적용 가능한 가장 현실적인 시설’이라는 이유에서다.

광주는 또, 소각시설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내보내는 105m 높이의 하남유니온타워처럼 새로 조성되는 소각시설에도 전망대 등을 갖춘 높이 100m 이상의 타워를 조성, 광주를 대표하는 랜드마크로 만들겠다는 복안이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광주시가 새롭게 지을 소각시설은 후대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시설인 만큼 경제적 효과는 물론 주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완성도 높은 시설로 준비하겠다”며 “광주에 맞는 창의적인 발상을 통해 어떤 시설이 주민들에게 호응을 얻을 수 있는지 심도 있게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광주 홍행기 기자
2023-09-0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