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진 경북도의원 “교직원-학생 화장실 시설, 차별 없어야”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23-10-31 16:19
입력 2023-10-31 16:19

경북 각급학교 교직원 비데 27.9%, 학생용 비데 6.7%
“화변기 여전히 25%나 남아있어, 화장실 시설개선 선제적으로 해야”

이미지 확대
조용진 경북도의회 의원
조용진 경북도의회 의원
경북도의회 조용진 의원(김천2, 교육위원회)은 “경북 각급학교 화장실 조사 결과 교사용 화장실과 학생용 화장실의 비데 설치율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고 주장했다.

경북도교육청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1일 기준으로 경북 각급학교 학생용 양변기 3만 4924개 중 비데 설치는 2337개로 6.7%에 그쳤지만, 교직원용 양변기는 전체 2967개 중 비데 설치가 828개로 27.9%로 나타났다.

조 의원은 “화장실 사용은 나이·성별·지위를 떠나 인간이 누려야 할 가장 기본적인 권리”라며 “현대사회에서 화장실의 비데가 보편화되고 있는데 교직원용 화장실과 학생용 화장실의 시설 간 차별을 두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라고 의견을 밝혔다.

또한 조 의원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경북도 각급학교 내 화변기(쪼그려 앉는 변기)가 아직도 상당수 존재하고 있어 개선이 시급하다고 주장했으며, 실제로 경북교육청 각급학교 화장실 변기 전체 4만 6451개 중 화변기는 1만 1527개로 25%의 비율로 사용되고 있다.

조 의원은 “경북교육청은 관련 자료를 제출하며 2023년부터 화장실 개선 시 100% 양변기로 교체하고 있으며, 양변기 비율은 최근 3년간 (2021년 65.9% →2022년 72% →2023년 75%) 지속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양변기의 지속적으로 증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진작 없어져야 할 화변기가 아직도 존재하고 계속 이어질 것이라는 게 문제의 본질”이라고 지적했다.



끝으로 조 의원은 “교원이 사회적으로나 학교 안에서나 존중받아야 할 대상임은 틀림없으나, 기본적인 권리에서 차별을 부여하는 것은 자칫 특혜로 오인할 수 있다”라며 “진정으로 교원을 존중하고 교권이 회복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시설개선을 촉구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