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에 국내 첫 탄소포집형 수소생산기지 구축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남인우 기자
남인우 기자
수정 2023-11-14 00:03
입력 2023-11-14 00:03

충북, 총 391억 투입·2025년 가동
자원순환 수소 생산시설 첫 사례
하루 수소 3t… 드라이아이스 19t

수소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재활용하는 시설이 충북 청주에 들어선다. 자원순환형 수소 생산시설은 국내 첫 사례다.

충북도는 13일 충북테크노파크, 제이엔케이히터㈜, ㈜에어레인, 창신화학㈜, 충청에너지서비스㈜ 등과 ‘탄소포집형 수소생산기지 및 충전시설 구축’ 협약식을 체결했다. 도가 산업통상자원부가 시행한 공모에 선정된 데 따른 후속절차다.

생산기지 예정지는 청주시 강내면 하이테크밸리 산업단지 부지다. 사업비는 국비 110억원, 민자 261억원, 지방비 20억원 등을 포함해 총 391억원이다. 2025년 하반기 가동이 목표다.

탄소포집형 수소생산기지는 도시가스를 원료로 하루 3t의 수소를 생산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로 드라이아이스를 만들어 신선식품 배송사에 공급하게 된다. 매일 포집되는 이산화탄소는 24t, 이를 통해 가공 및 유통되는 드라이아이스는 하루 19t 정도다.

생산기지 주변에는 배관을 통해 직접 수소를 공급하는 제조식 수소충전소가 구축된다. 충북 및 인근지역 수소충전소에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출하센터도 건립될 예정이다.

도는 도내 수소 수급 안정화와 수소판매 가격 인하를 기대한다. 현재 도내 수소충전소는 연구용을 포함해 총 19곳이다. 전국에서 수소충전소 보급률이 가장 높다. 하지만 수소 생산시설이 없어 울산, 충남, 인천 등 100㎞ 이상 떨어진 석유화학단지에서 생산된 수소를 공급받는다. 장거리운송에 따른 수송비용으로 그동안 충북지역 수소충전소 소비자가격이 타 지역보다 높았다. 또한 화물차 파업 등 물류대란 시 수소공급이 원활치 않아 수소차 이용자들이 큰 불편을 겪기도 했다.

도 관계자는 “하루에 수소 3t을 생산하면 도내 수소충전소 소비량을 모두 소화할 수 있다”며 “수소충전소 소비자가격이 인하되면 수소버스 연료비가 저감돼 친환경 대중교통시대 개막이 빨라질 것”이라고 밝혔다.

청주 남인우 기자
2023-11-14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