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난 속 서울 아파트, 내년 입주 물량 37%↓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오달란 기자
수정 2023-11-15 02:08
입력 2023-11-15 02:08

정비사업장 시기 조정 영향
2만 5124호… 市 “후년 완화”

내년 서울의 아파트 입주 물량이 2만 5000여호로 올해보다 40% 가까이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공사비 상승과 인허가·착공 지연 등으로 서울의 주택난이 더 심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서울시가 14일 발표한 아파트 입주예정물량 자료에 따르면 내년에 서울 아파트 2만 5124호가 공급될 전망이다.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을 통해 8572호가 공급되고, 공공주택·청년안심주택 등 비정비사업으로 1만 6552호가 입주를 시작한다. 올해 3만 9868호가 공급된 것과 비교하면 37.0%(1만 4744호) 감소한 수치다.

시는 대규모 정비사업장의 입주 예정 시기가 조정된 게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개포주공1단지 입주 예정 물량인 6702가구 중 조합원 5045가구의 입주 시기가 내년 1월에서 이달로 당겨졌고, 신반포4지구 3308가구 입주는 2025년으로 연기됐다. 아울러 동대문구 라그란데(3068가구)와 광진구 롯데캐슬 이스트폴(1363가구)의 준공일도 내년 12월에서 2025년 1월로 조정됐다.

시는 주택 공급의 어려움이 2025년 초 상당 부분 해소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재개발·재건축으로 4만 6302호, 공공주택 등으로 1만 7289호 등 총 6만 3591호가 공급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2025년 1월 대규모 사업장인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 1만 2032가구)과 라그란데, 이스트폴 등이 준공되면 1만 6464가구가 입주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최근 부동산R114 등 민간조사업체들은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이 1만 가구를 밑돌아 2013년 이후 역대 최저치가 될 것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시는 공공주택 물량과 30가구 미만의 소규모 재건축 주택 조사가 빠져 있어 과소 집계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달란·김동현 기자
2023-11-15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