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폐원 위기 어린이집 297곳…‘동행’ 대상 지정, 운영·인건비 지원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서유미 기자
서유미 기자
수정 2023-11-30 00:18
입력 2023-11-30 00:18

내년부터 정원의 70% 이하면
조리·화장실 개선비 전액 지원
영아반 1개여도 보조·대체교사

서울시가 저출생 흐름 속에서 폐원 위기에 처한 어린이집을 동행어린이집으로 지정해 인건비와 운영비를 지원한다고 29일 밝혔다.

시는 안정적인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내년부터 어린이집 간 거리가 200m 이상 떨어진 어린이집 가운데 평균 정원 충족률이 70% 이하인 297곳을 동행어린이집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동행어린이집에는 기존 교사 대 아동비율 개선 사업에서 완화된 기준을 적용해 운영비를 추가로 지원할 예정이다. 서울형 어린이집에 진입하기를 희망하는 경우엔 시가 컨설팅을 제공해 신규 공인을 돕는다. 서울형은 보육 교직원 인건비의 30∼100%를 지원받는다.

불편한 화장실과 낡은 조리실 등의 환경 개선도 자부담(30%) 없이 전액을 지원한다. 보조교사와 대체교사 지원도 기존 영아반 2개 이상을 운영하는 어린이집에서 영아반 1개 이상으로 확대한다.

지난달 기준 서울시 영유아 수는 32만 2000명으로 2018년 47만 1000명 대비 31.6% 줄었다. 같은 기간 2157개의 어린이집이 폐원하는 등 사실상 하루 1개꼴로 문을 닫았다. 어린이집 평균 정원 충족률도 하락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악화한 보육인프라로 인해 아이 낳기를 꺼리는 저출생 심화가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했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저출생으로 영유아 수가 감소하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양질의 보육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서유미 기자
2023-11-30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