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량 1위에도 명성 못 지키는 ‘전남 김’ 왜?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최종필 기자
최종필 기자
수정 2024-02-06 00:56
입력 2024-02-06 00:56

표준화·품질 관리 작업 등 소극적
국내생산 80% 차지해도 수출 저조
“가공·홍보로 수출 늘린 충남과 대조”

전남도가 전국 제1의 김 생산지인데도 표준화 작업에 소홀해 ‘전남 김’의 명성을 각인시키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전남도는 지난달 현재 2024년산 물김 위판액이 지난해보다 83% 증가한 3000억원을 넘겨 역대 최대 위판가를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 전남 김 양식 면적은 양식품종 중 가장 넓은 617㎢로 서울시 면적(605㎢)보다 크고 여의도 면적(2.9㎢)의 212배 규모다. 2024년산 물김은 지난해 10월 해남에서 첫 위판을 시작해 올해 43만 3848t, 5527억원을 생산 목표로 한다.

‘수산업계의 반도체’로 불리는 김은 우리나라 수산식품 단일품목으로는 처음 수출액이 1조원을 넘어섰다. 전 세계에서 김을 생산하는 나라는 한국·중국·일본 3개국에 그친다. 이중 한국산 김은 세계 시장점유율의 70%를 차지한다. 현재 124개국에 수출되며, 시장 전망도 밝아 앞으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전남도는 전남 김의 브랜드화와 표준화를 통해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충분한 자원이 있음에도 해당 관련 실·국의 협력 부족과 관심 소홀로 ‘전남 김’의 명성을 알리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산국과 농정국 등 부처 간 협의도 없어 표준화 작업이나 1~2등급을 정하는 품질 관리 강화 기준도 세우지 못하고 있다.

2022년 기준 전국 김 생산량 55만t 중 전남은 42만 5000t으로 80%를 차지하지만 김 수출액에서는 전체 6억 4000만달러 중 1억 9000만달러로 30%에도 미치지 못한다.

충남도가 김 산업을 전략산업으로 정해 세계적 브랜드로 육성하고 있고, 서천군은 김 수출 브랜드 ‘GIMSP’를 개발해 제품 홍보에 활용하는 등 김 수출 증대에 사활을 거는 모습과는 큰 차이를 보인다.

정영균 전남도의원은 “전남도는 물김만 생산하는 1차산업에만 국한하고 있어 그 많은 양을 충남도에 몽땅 갖다 바치고 있어 아쉬움이 크다”며 “충남이 전남 물김을 가져와 가공과 수출에 전력하면서 50% 이상 수출을 차지하는 모습을 직시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무안 최종필 기자
2024-02-06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