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고한 희생 새기려… ‘순직 소방관 추모공간’ 서두르는 지자체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임태환 기자
임태환 기자
수정 2024-02-06 00:56
입력 2024-02-06 00:56

의인 존중·안전의식 고취 앞장

경기, 수원 옛청사 앞에 공원 조성
전북, 119체험관 내 애도장소 마련
울산, 조형물 통해 생명존중 알려

이미지 확대
울산119안전체험관에 있는 순직 소방관 추모 조형물. 울산소방본부 제공
울산119안전체험관에 있는 순직 소방관 추모 조형물.
울산소방본부 제공
경북 문경 화재 현장에서 인명을 구조하고자 뛰어들었다가 순직한 소방관에 대한 애도의 물결이 이어지는 가운데 소방관 등 사회적 의인을 위한 추모 공원을 만들려는 지방자치단체의 움직임에 속도가 붙고 있다.

경기도는 도민의 생명을 수호하는 소방관 등을 위한 합동 추모 공원을 만들기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1996년 경기 용인시의 한 아파트에서 발생한 가스누출 사고 현장에서 순직한 박재석 소방교와 2007년 이천시 물류창고 화재 현장에서 순직한 윤재희 소방교, 2015년 서해대교 케이블 화재 진압 과정에서 순직한 이병곤 소방령 등 국가와 이웃을 위해 희생한 이들의 정신을 추모하기 위해서다.

추모 공원 사업 부지를 놓고 고심하던 경기도는 최근 수원시에 있는 옛 경기도의회 청사 인근에 추모 공원을 만들기로 했다. 이곳에 경기도 의인이 지켜낸 안전을 상징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면 존경과 존중이 어우러진 선진형 추모 문화가 조성될 것으로 경기도는 기대하고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5일 “문경 화재로 순직한 영웅들을 잊지 말자는 목소리가 크다. 경기도 역시 추모 공원 조성 사업에 더욱 속도를 내서 내년 상반기 안에 마무리 짓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전북도 오는 11월까지 임실군에 있는 전북119안전체험관 내에 순직한 소방관을 위한 추모 공간을 만들기로 했다. 특히 안전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주민 친화적인 기념 공간으로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울산시도 지역에서 순직한 소방관들의 생명 존중 정신을 깊이 간직하고자 지난 2022년 안전체험관에 추모 조형물을 만들고 시민에게 알리는 활동을 하고 있다.

소방청의 ‘위험직무 순직 통계자료’를 살펴보면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순직한 소방관은 총 40명이다. 여기에 문경 화재 현장에서 순직한 소방관 2명을 합치면 42명이 된다. 근무 유형별로 화재진압이 15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항공 10명, 구조 6명, 생활안전 5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관계자는 “순직한 소방관이 주민 가슴 속에 영원히 기억될 수 있도록 하는 추모 공간이 늘어나는 것에 대해 감사하다”며 “다만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보다 확실한 안전 시스템이 구축되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태환 기자
2024-02-06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