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풀 출퇴근 확 늘었는데… 주차장 확보 ‘제자리걸음’

임송학 기자
수정 2024-04-24 00:38
입력 2024-04-24 00:38
전주시 카풀 주차장 6곳에 불과
수용 능력 떨어져 운전자 ‘불만’

목적지가 같거나 비슷한 방향으로 출근하는 운전자들이 이용하는 카풀 주차장을 확충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차량은 크게 늘고 있으나 카풀 주차장은 수용 능력이 떨어져 이용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23일 전북특별자치도에 따르면 도청 소재지인 전주시에서 인접 시군으로 출근하는 운전자들을 위해 지자체가 조성한 카풀 주차장은 6곳, 369면에 불과하다. 전주시가 관리하는 카풀 주차장이 5곳 309면, 완주군 소유가 1곳 60면이다.
노선별로는 남원·임실 방향 68면, 군산·익산 방향 52면, 김제·정읍·고창 방향 84면, 봉동·고산 방향 30면, 무주·진안·장수 방향 75면, 용진읍 60면 등이다.
그러나 이들 카풀 주차장은 모두 2007~2013년에 조성된 것으로 주차면이 적어 급증하는 수요를 따르지 못한다. 지난 10여년 동안 출퇴근 차량은 크게 늘었지만 카풀 주차장은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어 이용자들의 불만이 높다.
특히, 전북혁신도시가 조성된 이후 이서면과 김제시 방향으로 이동하는 출근 차량이 대폭 증가했으나 이 노선에는 카풀 주차장이 없다. 출근 거리가 먼 순창군 방향도 카풀 주차장이 없어 전북도의회 등에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나 카풀 주차장을 조성하려면 용지확보 등에 막대한 사업비가 소요돼 지자체마다 어려움을 겪고 있다. 카풀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적지를 구하는 것도 쉽지 않다.
전북도 관계자는 “카풀 주차장은 갈수록 수요가 증가하는 주민 편익시설인 만큼 지자체가 나서 사업을 적극 추진하는 게 바람직하지만 지방재정이 열악해 터덕이고 있다”며 “수요를 조사해 해당 시군과 대책 마련을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글·사진 전주 임송학 기자
2024-04-24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