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온 상승, ‘미국흰불나방 등 병해충’ 발생 빨라지고 늘어난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종익 기자
이종익 기자
수정 2024-04-24 10:40
입력 2024-04-24 10:40
이미지 확대
미국흰불나방 유충. 충남도 제공
미국흰불나방 유충. 충남도 제공
이상 기온에 따른 따뜻한 날씨로 충남지역에서 미국흰불나방과 구기자 병해충 등의 발생량이 예년보다 빠른 증가가 예측됐다. 충남도 농업기술원은 지속적 예찰과 적기 방제를 당부했다.

농기원은 미국흰불나방이 올해도 대발생해 농작물에 큰 피해 가능성이 높다고 24일 밝혔다.

지난해 충남에서 발생한 미국흰불나방 밀도가 높았고 유충 대부분이 월동에 들어가 올봄 성충의 대거 출현이 예측됐다.

미국흰불나방 성충은 일반적으로 5월 중순부터 6월 상순까지 발생하지만, 올해 4∼5월 기온이 평년보다 높은 것을 고려할 때 1주일 빠르게 발생할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흰불나방은 산란량이 600개 이상으로 알집을 형성하며, 알에서 갓 부화한 유충은 잎맥만 남기고 무더기로 잎을 갉아 먹는다. 가로등은 성충의 유인을 조장해 공원 또는 가로수 피해도 심각하다.
이미지 확대
구기자 병해충인 열점박이잎벌레. 충남도 제공
구기자 병해충인 열점박이잎벌레. 충남도 제공
충남의 대표 작물 구기자 피해도 우려된다. 평년기온이 빠르게 상승하면서 생육 초기 발생하는 열점박이잎벌레·구기자뿔나방·혹응애 등에 이어 새 병해충인 구기자나무이와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 발생도 증가하고 있다.

이번 달 초에는 마늘 주산지인 서산·태안 지역에서 ‘잎집썩음병’이 잇따라 발생했다. 마늘 잎집썩음병은 봄철 10도 전후의 낮은 온도와 지상부 경계 부위 토양이 다습한 환경일 때 발생한다. 농기원은 지난 3월 서산·태안 지역 일조시간이 11%나 줄어 병이 발생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된 것으로 분석했다.

농기원 관계자는 “이상기후로 인한 온도 상승으로 월동한 병해충의 발생이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병해충 예찰 및 방제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성 이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