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온 상승, ‘미국흰불나방 등 병해충’ 발생 빨라지고 늘어난다

이종익 기자
수정 2024-04-24 10:40
입력 2024-04-24 10:40

농기원은 미국흰불나방이 올해도 대발생해 농작물에 큰 피해 가능성이 높다고 24일 밝혔다.
지난해 충남에서 발생한 미국흰불나방 밀도가 높았고 유충 대부분이 월동에 들어가 올봄 성충의 대거 출현이 예측됐다.
미국흰불나방 성충은 일반적으로 5월 중순부터 6월 상순까지 발생하지만, 올해 4∼5월 기온이 평년보다 높은 것을 고려할 때 1주일 빠르게 발생할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흰불나방은 산란량이 600개 이상으로 알집을 형성하며, 알에서 갓 부화한 유충은 잎맥만 남기고 무더기로 잎을 갉아 먹는다. 가로등은 성충의 유인을 조장해 공원 또는 가로수 피해도 심각하다.

이번 달 초에는 마늘 주산지인 서산·태안 지역에서 ‘잎집썩음병’이 잇따라 발생했다. 마늘 잎집썩음병은 봄철 10도 전후의 낮은 온도와 지상부 경계 부위 토양이 다습한 환경일 때 발생한다. 농기원은 지난 3월 서산·태안 지역 일조시간이 11%나 줄어 병이 발생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된 것으로 분석했다.
농기원 관계자는 “이상기후로 인한 온도 상승으로 월동한 병해충의 발생이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병해충 예찰 및 방제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성 이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