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변도시 활용 바꿔달라”…군산 ‘새만금’ 개발에 딴죽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설정욱 기자
설정욱 기자
수정 2024-06-21 02:26
입력 2024-06-21 02:26

빠르면 올해 분양인데 변경 요구
개발청·공사측 “이미 진행” 난처
시의회, 신항만 관할권에도 민감

새만금 관할권을 둘러싼 내홍이 끊이지 않는다. 특히 군산지역이 민감하게 반응한다.

20일 전북도와 새만금개발청 등에 따르면 군산시는 스마트 수변도시의 활용 변경을 요구하고 있다. 새만금 최대 핵심 사업 중 하나인 수변도시는 2028년에 인구 3만 5000명이 거주하는 곳으로 빠르면 올해, 늦어도 내년 초에 분양한다.

그러나 군산시는 수변도시가 신항만에 인접한 만큼 물류창고 등으로 활용해 항만기능을 뒷받침하는 게 적합하다는 것이다. 군산시는 이 같은 내용을 새만금 기본계획(MP)에 포함하겠다는 방침이다.

반면 새만금 MP를 담당하는 새만금개발청과 수변도시 조성을 맡은 새만금개발공사는 난처한 상황이다. 이미 수변도시 조성이 상당 부분 진행됐기 때문이다. 공사 관계자는 “수변도시에 대한 실시설계 중이고 기반 조성공사도 착수한 만큼 다른 용도로 사용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했다.

이에 군산시 관계자는 “현재 새만금개발공사가 수변도시 통합개발계획 변경 용역을 진행하는 만큼 지역 입장을 전달했다”면서 “거주지가 조성되면 인근 시군 인구 유출도 우려되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군산시의회는 새만금신항만 관할권에 대해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새만금신항은 군산과 김제의 대표 분쟁지다. 신항만은 9선석 규모로 2026년 입항이 목표다. 행정안전부 중앙분쟁조정위원회(중분위) 안건으로 올라 수차례 회의가 열렸지만, 쉽사리 결론이 나지 않고 있다.

시의회는 지난 13일 이원택 의원(군산·김제·부안을)이 해양수산부 장관과 새만금신항을 방문한 것에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방문에 김제시 부시장이 동행한 것으로 알려지면서다. 김영일 군산시의회 의장은 “농해수위 간사를 맡은 이 의원의 새만금신항 방문은 누가 봐도 향후 새만금 관할권 결정문제에 영향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이번 방문은 해수부 일정이었고, 해수부는 관할권을 결정할 부처도 아니다”며 “신항의 속도감 있는 개발과 배후부지 재정 전환 등을 장관에게 건의했다”고 했다.

군산 설정욱 기자
2024-06-21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