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 막아라… 전남, 인구 대전환 프로젝트 ‘시동’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류지홍 기자
류지홍 기자
수정 2024-08-14 00:16
입력 2024-08-14 00:16

출산·보육·교육·일자리 정책 혁신
출생률 높이고 인구 유입 총력전

올해를 ‘지방소멸 극복의 원년’으로 삼은 전남도가 출생률 반등과 함께 생활 인구와 외국인 등 새로운 인구 유입을 위한 ‘인구 대전환 전남 프로젝트’ 본격화에 나섰다.

지난 3월 ‘인구 대전환 전담팀’을 구성해 출산부터 보육, 교육, 일자리 등의 인구 활력 시책 발굴에 나선 전남도는 2030년까지 1조 3187억원을 투입해 ▲가족 ▲기회 ▲유입 ▲안착 ▲공존의 5대 분야 100대 과제를 추진해 인구대전환을 이룬다는 구상을 마련했다고 13일 밝혔다.

먼저 나 홀로 가구시대 해소를 위해 가족의 가치와 공동체 기능을 회복해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전남 만들기에 주력한다. 특히 올해부터 전남에서 태어나는 모든 아이에게 18년간 월 20만원을 지급하는 ‘전남도·시군 출생기본수당’을 내년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임신과 출산, 육아 통합 플랫폼을 구축해 초등자녀돌봄 탄력근무장려금과 전남형 조부모 손자녀 돌봄 수당 등의 양육과 돌봄 틈새도 보완한다.

기회발전특구 지정과 우주발사체 클러스터 등 첨단일자리 거점 육성과 ‘전남미래혁신산업펀드 5000억원을 조성해 청년 일자리 생태계를 만들고 전국 최초 주4일제를 도입, 우수인력 유입도 추진한다.

주거비를 낮춘 ‘전남형 만원주택’ 건립과 ‘청년 농촌보금자리’ 등 일자리 연계 공공주택을 늘리고 햇빛연금 등 ‘재생에너지 이익공유제’를 통해 인구 유입에도 나선다.

월 1만원의 임차료로 최장 5년간 거주하는 전남형 만원 세컨하우스와 전남에서 살아보기 등 농촌 세컨드홈 활성화 정책으로 생활 인구를 확대하고 ‘전남 이민·외국인 종합지원센터’ 설립 등을 통한 해외 유학생과 외국인을 전략적으로 유입해 전남을 세계인의 이주 허브로 만들 방안도 마련했다.

무안 류지홍 기자
2024-08-1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