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천터미널 지하화… 더 커지고 쾌적해진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홍행기 기자
홍행기 기자
수정 2024-11-01 04:23
입력 2024-11-01 04:23

광주시·신세계 정류장 확대 합의
건축 연면적 11만 6873㎡ 2배로

이미지 확대
광주신세계의 ‘광천터미널 복합개발’ 사업을 통해 변모할 광천버스터미널 내부 예상도. 광주시 제공
광주신세계의 ‘광천터미널 복합개발’ 사업을 통해 변모할 광천버스터미널 내부 예상도.
광주시 제공


광주·전남 최대 교통관문으로 꼽히는 광천터미널(광주종합버스터미널)이 지하화를 통해 더 커지고, 더 쾌적해질 전망이다.

광주시는 지난 30일 광주신세계에 ‘주요 도시계획시설인 자동차정류장의 경우 기존 시설의 연면적 이상 확보’를 원칙으로 제시했으며, 신세계도 이를 수용했다고 31일 밝혔다. 광주시의 이 같은 요구는 광주·전남지역 교통과 물류의 핵심 거점 역할을 수행해 온 광천버스터미널의 기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이용객 편의가 강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신세계는 이에 따라 자동차정류장을 지하화해 기존 5만 4945㎡였던 건축연면적을 11만 6873㎡로 갑절 이상 확대하기로 했다. 백화점은 현재 5만 9174㎡에서 4배 늘어난 24만 8949㎡, 특급호텔과 문화·업무시설을 포함한 터미널 복합시설은 기존 2만 3321㎡에서 39만 9523㎡로 17배 가량 늘어난다. 교육·의료시설은 11만 9006㎡, 주거복합시설은 516가구 19만 8003㎡가 새로 조성된다.

광주시와 신세계는 특히, 자동차정류장의 경우 ‘수요 대비 규모의 적정성’을 나중에 분석·검토하기로 합의했다. KTX 개통 등으로 매년 버스터미널 이용객이 급감하는 데 따른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실제로 광천버스터미널은 지난 1992년 개장 당시 하루 평균 이용객이 4만 7000명 수준이었지만 올해는 평균 1만 2000명으로 75%가량 감소했다. 30여년 전 하루 평균 이용객을 최대 9만 5000명으로 예상했지만, 현재 이용객은 예상치의 13%에 그친다. 이에 따라 광천버스터미널을 운영하는 금호고속은 고속버스와 시외버스의 하루 평균 운행 횟수를 절반가량 줄이고 정류장 부지 축소도 검토해 왔다.

광주 홍행기 기자
2024-11-01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