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이신설선’ 재구조화 3년 만에 정상화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임태환 기자
임태환 기자
수정 2024-12-17 23:52
입력 2024-12-17 23:52

사업자 교체·재정 지원 방식 변경

파산 위기에 몰렸던 서울 제1호 경전철 ‘우이신설선’ 사업 정상화에 청신호가 켜졌다. 사업자를 교체하고, 재정 지원 방식도 바뀐다.

서울시는 지난 12일 열린 제5회 기획재정부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에서 ‘우이신설선 신규 사업시행자 지정안 및 실시 협약’이 통과했다고 17일 밝혔다.

북한산 우이동과 신설동을 잇는 우이신설선은 교통 소외 지역인 강북 일대의 주요 대중교통 수단이다. 2017년 9월 개통 이후 약 1억 8000만명을 실어 날랐다.

그러나 예측 대비 부족한 수송 인원과 높은 무임승차 비율로 적자가 누적되기 시작했다. 올해 기준 우이신설선 수송 인원은 예측 수요인 일평균 13만여명의 58% 수준인 7만 5000여명이다. 무임승차 비율은 예측치의 3배를 넘는다.

결국 기존 사업자인 우이신설경전철㈜이 파산 위기에 놓이자 서울시는 2021년부터 우이신설선 사업 재구조화 논의에 돌입했다.

이 과정에서 우이신설선의 안정적 운영을 목표로 사업 방식을 BTO(수익형 민간투자사업)에서 BTO-MCC(최소비용보전방식)로 변경했다. 이는 사업자의 운영수입이 각종 비용을 밑돌면 시가 부족분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이후 진행한 신규 사업자 모집에서 평가 점수 1위를 받은 ‘우이신설도시철도㈜’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시는 이달 안으로 실시협약을 체결하고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인계인수 등의 절차에 돌입할 계획이다. 

임태환 기자
2024-12-18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