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번 입찰만에 찾은 사업자도 취소… 광주송정역 증축 하세월

홍행기 기자
수정 2025-04-21 01:12
입력 2025-04-21 01:12
지난 2월 낙찰자 법정관리로 낙마
“사업성 없다” 작년 5번 모두 유찰
철도공단, 사업비 증액 방안 검토
새 사업자 선정… 내년 초에나 착공

정준호 국회의원실 제공
호남의 대표 관문 ‘광주송정역’ 증축공사가 2년째 사업자를 찾지 못하면서 ‘낡고 비좁은’ 청사를 이용해야만 하는 지역민과 방문객들의 불편이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다.
20일 국가철도공단 호남본부에 따르면 지난 2월 6번째 입찰 끝에 낙찰자로 선정된 D건설이 최근 법정관리에 들어감에 따라 지난 2일 낙찰자 결정이 취소됐다. 철도공단은 지난해 5차례에 걸쳐 입찰 공고를 냈으나 ‘낮은 공사비로 인한 사업성 부족’ 등을 이유로 모두 유찰됐다. 철도공단은 이에 따라 ‘사업 참여 자격’을 완화, 지난 2월 진행된 6번째 입찰에서 D건설 등 2개 건설사가 참여한 컨소시엄을 낙찰자로 선정했다.
철도공단은 낙찰자 결정이 취소됨에 따라 조만간 7번째 입찰을 진행할 방침이다. 특히, 새 입찰에서는 ‘공사 난이도에 비해 사업비가 적다’는 지적에 따라 계약금액을 올해 공사 단가에 맞추는 등 사업비를 다소 증액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철도공단은 입찰이 새로 진행되면 물리적인 시간이 필요한데다, 사업자를 선정할 수 있을지도 불확실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광주송정역 증축공사 일정이 최소 1년가량 늦춰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본다.
철도공단 관계자는 “입찰을 통해 오는 9월쯤 사업자가 선정되더라도 곧바로 추운 겨울이 시작된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내년 초에나 착공이 가능할 것”이라며 “완공 일정도 당초 2028년 9월보다 늦춰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광주송정역 증축 공사는 공사비와 설계비 등 국비 523억원을 들여 전체면적을 5700㎡에서 1만 900㎡로 갑절가량 확대하는 사업이다. 낡은 대합실과 승강장, 편의시설 등도 개선한다. 공사 기간은 총 37개월이다.
광주송정역은 호남고속철도가 개통한 2015년 4월부터 기존 광주역을 대신해 ‘호남의 관문’ 역할을 했지만, 좁고 노후화한 시설로 이용객들의 불만이 컸다. 광주송정역은 하루 평균 이용객이 2만명을 넘어섰지만 면적은 5700여㎡에 그치고 있다. 하루 평균 이용객 1만 9800명 수준인 오송역의 총면적 2만여㎡, 7000여명인 울산역의 총면적 9200㎡보다 훨씬 좁다. 승객 대합실 면적만 따지면 광주송정역이 1730여㎡로 오송역 5400㎡의 30%, 울산역 2880㎡의 60% 수준이다.
광주 홍행기 기자
2025-04-21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