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복합쇼핑몰·버스터미널 사업 지지부진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홍행기 기자
홍행기 기자
수정 2025-05-22 23:35
입력 2025-05-22 23:35

더현대, 교육청과 일조권 갈등
신세계, 사업제안서 제출 못해

이미지 확대
옛 전방·일신방직 부지에 들어설 복합쇼핑몰 ‘더현대 광주’ 조감도. 광주광역시 제공
옛 전방·일신방직 부지에 들어설 복합쇼핑몰 ‘더현대 광주’ 조감도.
광주광역시 제공


복합쇼핑몰 ‘더현대 광주’와 신세계가 추진하는 ‘광주버스터미널 복합화 사업’이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22일 광주시와 북구 등에 따르면 옛 전방·일신방직 부지에 들어설 예정인 복합쇼핑몰 ‘더현대 광주’와 4600가구 규모의 주상복합시설 건축인허가 절차가 지연되고 있다.

‘더현대 광주’의 경우 지난 2월 28일 업체에서 북구에 건축인허가를 신청했지만 교통영향평가를 놓고 이견을 보인다. 북구는 “프로야구 경기가 있는 날의 교통량과 누문·양동3구역 등 다수의 대규모 개발 사업이 교통영향평가에 반영되지 않았다”며 보완을 요구한다.

주상복합시설 역시 인근에 있는 초등학교와 ‘일조권’을 놓고 시교육청과 갈등이 빚고 있다. 특히, 총 5899억원의 공공기여 가운데 현물로 제공키로 한 사무용건물과 관련 ‘독립된 한 동의 건물’로 할 것인지 ‘한 동 가운데 일부 층’으로 할 것인지를 놓고 광주시와 의견이 첨예하게 엇갈린다.

신세계가 추진하는 ‘광천버스터미널 복합화사업’ 역시 부지 내 주거면적 확대가 현안이 되면서 지난해 10월 사전협상대상지로 선정된 이후 8개월째 사업제안서도 제출하지 못하고 있다.

신세계는 사업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업부지 내 주거면적을 당초의 5만평(516가구)에서 7만평 규모로 확대하겠다고 제안했지만, 광주시는 거부했다. 신세계는 대신 광주시가 요구한 ‘공연장 건설’을 취소하는 등 사업규모를 대폭 축소하는 내용의 제안서를 새로 마련, 이달에 제출할 방침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신속·공정·투명의 원칙에 따라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며 “업체와 최대한 빨리 협의를 마무리해 사업이 기한 내에 정상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광주 홍행기 기자
2025-05-2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