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모아주택 사업 기간 최대 2년 단축

서유미 기자
수정 2025-08-19 23:57
입력 2025-08-19 23:57
공공기여는 완화, 일반분양 늘려
가구당 분담금은 7000만원 감소

뉴스1
서울시가 대규모 재개발이 어려운 노후 저층 주거지를 새로 짓는 모아주택·모아타운 활성화를 위해 ‘사업성 보정계수’를 도입한다. 사업 기간을 2년 가까이 단축하고 분담금도 줄어들 예정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9일 서대문구 현저동1-5번지 일대를 방문해 이런 내용이 담긴 모아주택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오 시장은 주민들과 만나 “앞으로 모아주택을 실질적이고 빠르게 공급하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존 재개발·재건축에만 적용했던 사업성 보정계수를 모아주택에도 도입해 공공기여는 완화하고 일반 분양 규모를 늘리는 것이 골자다. 현재 추진 중인 모아타운의 93%가 서울 평균 공시지가 이하인 만큼, 대다수가 혜택을 받을 전망이다. 모아타운 12곳에 대해 사업성 보정계수 1.5를 적용해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 공공기여 비율은 23%에서 15%로 내려갔다. 특히 역세권의 우수 입지 모아타운에 대해선 용적률을 높이고 금융 지원도 확대한다. 사업 기간은 최대 2년, 가구당 분담금은 평균 7000만원 줄일 계획이다. 공급할 수 있는 모아주택은 11만 7000호로 전망된다.
1호 대상지로 선정된 현저동 1-5번지 일대는 노후 건축물 비율이 100%로 일명 ‘똥골마을’로 불린다. 지난 6월 모아타운 관리계획 승인 후 내년 상반기 통합심의를 거쳐 착공을 앞두고 있다. 오 시장은 “굉장히 열악한 주거환경 속에서 주민들이 20여년간 상당히 고생했다”며 “상징적인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오 시장은 지난달부터 광진구 자양4동 재개발 구역을 시작으로 중구 신당9구역 정비사업 등 주택공급 활성화를 위한 현장 행보를 이어오고 있다.
한편 시는 지난 18일 제12차 소규모주택정비 통합심의 소위원회에서 노후 저층주거지 개선을 위해 강서구 방화동, 강북구 미아동과 수유동 등 모아주택·모아타운 사업 5개 안건을 통과시켰다.
서유미 기자
2025-08-20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