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행자 “111개월” vs 부산시 “84개월”…가덕도신공항 부지 조성 기간 평행선

정철욱 기자
수정 2025-09-08 00:42
입력 2025-09-08 00:42
‘공사 기간’ 비공개 토론회
市 “전문가 안전 문제없다 자문”
건설공단 “보수적으로 공기 논의”가덕도신공항 조성 사업이 공회전만 거듭하고 있다. 부지조성공사의 우선협상대상자였던 현대건설이 공사 기간이 짧다는 이유로 손을 뗀 지 4개월이 지났지만, 여전히 적정 공기조차 정하지 못한 채 표류하고 있다.
7일 부산시와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에 따르면 지난 4일 공단에서 가덕도신공항 부지조성공사 적정 공사 기간과 관련한 비공개 토론회가 열렸다. 토론회에는 시와 공단, 가덕도신공항 기본계획·설계 업체 관계자 등이 참석해 적정 공기와 관련해 6시간 동안 의견을 나눴다. 부지조성공사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재입찰을 진행해야 하는 상황에서 보다 현실적인 입찰 조건을 찾기 위해서다.
부지조성공사 시공사 선정은 4차례 유찰 끝에 수의계약으로 전환돼 지난해 10월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그러나 컨소시엄이 입찰 조건이었던 84개월이 아닌 108개월을 공기로 하는 기본설계안을 제출하면서 계약 추진이 중단됐다. 컨소시엄 주관사였던 현대건설(지분율 25.5%)이 안전을 담보하기 위한 공기 확보가 불가능하다는 이유로 지난 5월 사업 참여를 포기했다. 지난달에는 지분율 3위(13.5%)인 포스코이엔씨도 컨소시엄을 탈퇴했다. 올해 잇단 중대재해 사고 발생에 따라 안전이 확보될 때까지 인프라 분야 신규 수주를 중단한다는 방침 때문이다.
토론회에서는 기본설계안과 업계 의견 등을 종합했을 때 가장 보수적인 부지조성 기간을 111개월로 보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논의했다. 공단 관계자는 “확정 공기를 제시한 게 아니라, 공단이 검토한 공기를 바탕으로 단축 방안을 관계기관, 전문가와 논의한 것”이라며 “적정 공사 기간은 국토교통부와 협의해 추후 발표하겠다”라고 밝혔다.
반면 시는 공기는 84개월이 적정하다고 본다. 1년 8개월간 153억원을 들인 기본계획 용역, 60여차례 전문가 자문회의를 거쳐 공기를 결정한 만큼 안전을 확보하는 데 무리가 없다는 것이다. 다만, 84개월을 조건으로 재입찰을 하고 공사 과정에서 불가피한 사정이 생긴다면 공기 연장을 수용할 수 있다는 게 시의 입장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정부가 충분한 검토를 통해 결정한 공기 84개월이 안전하지 않다는 데 동의할 수 없다”며 “가덕도신공항은 북극항로개척과도 동반 상승효과를 낼 수 있는 만큼 균형발전 차원에서 가능한 한 신속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부산 정철욱 기자
2025-09-08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