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의 선택] 천제단 올리던 ‘연탄불 찰떡 궁합’ 태백한우
수정 2015-09-07 02:37
입력 2015-09-06 18:24
서늘한 매봉산 자락에서 방목
예로부터 태백산 천제단에 올리고자 사육하던 태백한우가 미식가들에게 인기가 높다. 한여름에도 서늘한 기온을 유지하는 해발 600~1100m의 매봉산 자락에서 대부분 방목으로 키워낸다.
태백시 제공
고원 청정지역이어서 브루셀라, 구제역 등 질병에도 강하다. 2011, 2012년 국내에 유행하던 구제역 청정지역으로 명성을 얻기도 했다. 비육 시기에는 호밀과 옥수수를 잘 배합해 먹이고 있다. 신토불이(身土不二) 그 자체다. 사육 방법과 고기 특질을 살려 태백한우는 2013년 특허청으로부터 ‘지리적단체표장’을 받아 품질을 관리하고 있다. 사육 두수는 2000여두 안팎이라 더 귀한 대접을 받는다.
태백한우는 태백지역에서만 맛볼 수 있는 별미로 소문난 지 오래다. 고기맛도 일품이다. 검붉은 색의 태백한우 고기는 지역에서 생산된 연탄불에 올려 구워 먹으면 육즙이 고스란히 남아 풍미를 더한다. 순간 온도가 높은 연탄불과 육질이 단단한 태백한우의 궁합이 제격이다. 열기가 센 연탄불에 지글지글 구워 풍부한 육즙을 느끼며 먹는 한우의 맛은 먹어본 사람만이 안다.
연탄의 고장 태백에서 당시 광부들이 쉽게 접하던 연탄불에 고기를 구워 먹던 방식을 그대로 이어오고 있다. 맛뿐만 아니라 1960~70년대의 추억을 함께 느낄 수 있어 더 좋다. 연탄불 주위에 삼삼오오 둘러앉아 한우고기를 맛보는 옛 모습이 지금도 태백시 곳곳에서 펼쳐진다. 지역 유명 식당에는 사철 연탄불에 태백한우를 구워 먹기 위해 외부에서 찾은 식도락가들로 붐빈다.
후식으로 태백, 정선지역 특식인 곤드레밥이나 토속 막장으로 끓여내는 찌개를 먹으면 개운하다. 탁원석 태백시 축산계장은 “고원도시 청정 태백에서 사육되는 태백한우는 어느 지역 고기보다 단단하고 육즙이 풍부해 한번 맛을 본 미식가들이 다시 찾는 명품한우로 자리잡았다”고 말했다.
태백 조한종 기자 bell21@seoul.co.kr
2015-09-07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