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3·1만세운동-1] 월곶면서 점화해 15차례 만세시위… 오라니장터 참가 1만1000명 최대
이명선 기자
수정 2019-02-26 16:29
입력 2019-02-26 11:22
횃불·봉화 이용해 야간시위 전개하고 사전 격문으로 군중모임장소 알려 조직적 활동
26일 김포문화재단에 따르면 1919년 3월22일 월곶면과 검단면에서 점화된 만세시위는 3월23일 양촌면 오라니장터와 양동면의 가양리, 24~25일에는 고촌면 신곡리, 26일 김포군 군내면 감정리와 읍내 북변리, 27일 양촌면과 2개장소(하성면), 29일 월곶면에서 독립만세시위가 전개됐다. 판결문과 일제측의 보고문서 내용을 보면 김포지역 3·1독립만세시위가 3월 22일부터 29일까지 8일간 집중 전개됐다.
지역별로 보면 월곶면에서 4회 펼쳐진 데 이어 양촌면 3회, 고촌면 2회, 군내면 2회, 하성면 1회, 검단면 1회, 양동면 1회, 기타 지역 1회로 총 15차례 일어났다.
만세운동에 참여한 주민규모는 독립운동가들의 재판 판결문과 일제의 소요사건 경과 개람표, 일제의 소요상황 보고 문서를 통해 알 수 있다. 먼저 검단면에서는 300명이 시위에 참가했다. 월곶면 군하리장터에서 4회, 1250명에 이어 양촌면 오라니장터 3회 1만 1000명, 하성면 1500명, 고촌면 100명, 양동면 150명, 군내면 153명, 기타지역에서 참가 인원은 총 1만 4453명으로 나타나 있다.
이 가운데 대규모 군중이 모여 벌인 시위운동은 23일 4000명, 27일 7000명 등 총 1만 1000명이 참여한 양촌면과 1500여명이 참여한 하성면을 들 수 있다.
‘경기도지’(1955년발행), ‘경기도 지역의 운동일지’에는 집회횟수 12회, 집회인원 1만 5000명, 부상자 150명, 체포자 200명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 결과는 당시 경기도 집회수 순위 9위, 참가인원은 2위로 기록되고 있다.
1914년 3월1일 결정된 김포군 현황은 9개면으로 군내면(김포 1·2·3동)과 검단면·고촌면·양촌면·월곶면·대곶면·하성면·양동면·양서면 등이다.
양촌면 오라리장터 오후 2시 시위에서는 종이로 한국국기를 만들어 사용했다. 오후 4시 시위에서 정인섭은 무명천에 먹으로 쓴 ‘독립만세’ 한국 국기를 대나무 장대에 메어 사용했다. 또 22일 월곶면에서는 이살눔이 종이로 만든 구 한국국기를 휘두르며 독립만세를 외쳤고, 박용희는 국기를 들고 선두에 서서 시위를 이끌었다. 김포지역 만세운동의 또 다른 양상은 시위가 자연발생적으로 전개된 것이 아니고 사전에 언제, 어디서, 무엇을 하자는 취지의 격문을 만들어 동네 곳곳에 배포해 군중이 참여하도록 조직적으로 움직였다는 점이다.
양촌면 오라리장터 오후 2시 시위에서는 ‘독립만세를 부르기 위해 모이라’라는 취지의 경고문 10수 통을 작성해 각 지역에 격문과 함께 배포했다. 29일 월곶면 시위에서는 “명 29일 오전 11시에 전 통진 읍내에 집합해 조선독립만세를 외치라”는 취지의 문서 7통을 각 동네에 배포했다.
이렇듯 김포 3·1독립만세운동은 사전에 시위계획을 세워 각자 역할을 분담하고 시위에 참여할 군중을 모으는 방법으로 격문을 사용해 조직적이고 치밀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명선 기자 msle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