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농사꾼 드론

신동원 기자
수정 2019-05-27 02:13
입력 2019-05-26 17:48
이천·평택 농업기술센터 연구 결과…벼 재배 노동력 절반으로 절감 효과

26일 경기 이천시와 평택시 농업기술센터에 따르면 기존 육묘·이앙재배와 비교해 드론을 활용할 경우 벼 재배 전 과정에 걸쳐 50% 이상 노동력을 줄일 수 있다. 육묘작업 생략, 시비작업 50% 이상, 제초작업 80% 이상, 병해충 방제작업에 80% 이상 절감된다.
두 센터는 드론을 이용한 철분 코팅 볍씨 파종 시연을 통해 담수산파(논에 물을 가둔 후 직접 파종) 재배기술을 적용했다. 입모율 향상, 쓰러짐 감소, 조류피해 방지를 위해 볍씨를 규산 또는 철분으로 코팅해야 하며 입모 후 잡초관리, 시비 및 병해충 방제도 농업용 드론을 활용해 일반재배법과 동일하게 하면 된다.
이천시 센터 관계자는 “병해충 방제에 활용해 벼 재배기술 체계 확립과 안정적인 활용을 위한 재배기술 보급에 애쓰겠다”고 말했다.
벼는 작물의 높이가 일정하고 잎이 세로로 자라기 때문에 방제 난도가 과수에 비해 낮은 편이다. 현재 논에 활용되는 드론은 1시간에 4.9ha를 방제할 수 있다. 또 지상에서 3~5m 저고도로 살포해 약제 침투와 방제 효과가 높고 비산이 적어 약제로 인한 주변 피해가 적으며 단기간에 방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평택시는 농촌인구의 급격한 노령화·부녀화로 벼 병해충 방제작업에 어려움을 겪는 농업인들을 위해 지역농협(평택, 팽성, 안중, 송탄)과 공동방제 비용 일부를 지원하는 드론 공동방제를 7~8월 실시한다. 6월 14일까지 농지 소재지 농협에서 신청하면 된다. 올해 방제 면적은 5000㏊다. 농약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PLS) 시행으로 인해 친환경농지·양봉·과수·채소 농지 등 방제에 따른 피해 우려 지역은 제외된다. 신청 때 친환경 약제를 사용한 방제가 가능해 참고할 만하다.
신동원 기자 asadal@seoul.co.kr
2019-05-27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