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産 바지락 옛 명성 찾는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천열 기자
이천열 기자
수정 2019-08-15 01:17
입력 2019-08-14 17:56

중국산 종패 수입할 만큼 생산량 감소

수산과학원, 치패·종패 인공생산 연구
치패 1000만마리 갯벌 어민들에 분양
이미지 확대
충남도 수산자원연구소와 갯벌연구센터 연구원들이 염전처럼 만든 연구 어장에 바지락 치패를 옮기고 있다. 충남도 제공
충남도 수산자원연구소와 갯벌연구센터 연구원들이 염전처럼 만든 연구 어장에 바지락 치패를 옮기고 있다.
충남도 제공
“전북은 새만금사업으로 갯벌이 별로 없고, 전남은 펄이 많아 꼬막 같은 것만 주로 생산되니 충남에서 씨바지락을 가져오는 거죠.”

전북 군산에 있는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센터 정희도 연구사는 14일 “둑을 쌓아 염전처럼 만든 뒤 바지락을 치패에서 종패까지 인공적으로 길러 대량 생산하는 방법을 연구하기 위해 충남산 치패를 분양받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충남도 수산자원연구소는 이날 이 센터에 바지락 치패 1000만 마리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충남 갯벌에서 채취한 어른 암수 바지락을 수조에서 인공 수정시켜 한 달 반을 키운 것이다. 크기는 0.5~1㎜이다. 갯벌연구센터는 이 치패를 둑 안에 가둬 2.5~2.8㎝의 종패로 키운 뒤 전북 고창 등 바지락이 나지 않는 갯벌의 어민에게 분양할 계획이다. 정 연구사는 “종패까지 자라면 잘 죽지 않는데 10년여 전부터 국내 소비 종패의 40%를 중국에서 수입한다”고 했다.

갈수록 바지락이 줄어서다. 그나마 충남은 국내 생산량의 30%를 차지할 정도의 바지락 주산지다. 충남도 간척지 개발 등으로 생산량이 크게 줄었지만 천수만과 가로림만을 중심으로 3.5㎝ 안팎 크기의 3년 정도 자란 성패 바지락을 매년 7000~1만t씩 생산한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충남도 분양 치패를 활용해 바지락 양식용 종자 대량 생산을 위한 새 인공 중간육성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남기웅 도 수산자원연구소 연구사는 “바지락은 충남 서해안처럼 모래가 적당히 섞인 갯벌에서 잘 자란다. 거의 유일한 씨바지락 생산지이기도 하다”며 “갯벌연구센터와 갯벌 환경 변화 및 바지락 자원 감소 대비 기술을 개발하는 데도 힘을 모으겠다”고 밝혔다.

보령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
2019-08-1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