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産 바지락 옛 명성 찾는다

이천열 기자
수정 2019-08-15 01:17
입력 2019-08-14 17:56
중국산 종패 수입할 만큼 생산량 감소
치패 1000만마리 갯벌 어민들에 분양

충남도 제공
전북 군산에 있는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센터 정희도 연구사는 14일 “둑을 쌓아 염전처럼 만든 뒤 바지락을 치패에서 종패까지 인공적으로 길러 대량 생산하는 방법을 연구하기 위해 충남산 치패를 분양받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충남도 수산자원연구소는 이날 이 센터에 바지락 치패 1000만 마리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충남 갯벌에서 채취한 어른 암수 바지락을 수조에서 인공 수정시켜 한 달 반을 키운 것이다. 크기는 0.5~1㎜이다. 갯벌연구센터는 이 치패를 둑 안에 가둬 2.5~2.8㎝의 종패로 키운 뒤 전북 고창 등 바지락이 나지 않는 갯벌의 어민에게 분양할 계획이다. 정 연구사는 “종패까지 자라면 잘 죽지 않는데 10년여 전부터 국내 소비 종패의 40%를 중국에서 수입한다”고 했다.
갈수록 바지락이 줄어서다. 그나마 충남은 국내 생산량의 30%를 차지할 정도의 바지락 주산지다. 충남도 간척지 개발 등으로 생산량이 크게 줄었지만 천수만과 가로림만을 중심으로 3.5㎝ 안팎 크기의 3년 정도 자란 성패 바지락을 매년 7000~1만t씩 생산한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충남도 분양 치패를 활용해 바지락 양식용 종자 대량 생산을 위한 새 인공 중간육성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남기웅 도 수산자원연구소 연구사는 “바지락은 충남 서해안처럼 모래가 적당히 섞인 갯벌에서 잘 자란다. 거의 유일한 씨바지락 생산지이기도 하다”며 “갯벌연구센터와 갯벌 환경 변화 및 바지락 자원 감소 대비 기술을 개발하는 데도 힘을 모으겠다”고 밝혔다.
보령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
2019-08-1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