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중구 옛 국세청 남대문별관 일대를 역사문화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실시한 설계공모 당선작이 2층 높이 광장에 계단으로만 접근이 가능하고 난간을 설치하는 등 위험하고 이용 불편이 예상된다는 지적이다.
이미지 확대
강구덕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 강구덕 의원(새누리당, 금천구2)은 “지난 10월 당선된 작품인 ‘서울 연대기’가 서울 시민을 위한 공간 조성이라는 기본 원칙을 간과하고 있다”며, “땅에서 들어 올려진 특이한 광장이 아니라 다수의 시민이 이용할 수 있는 지상에 조성된 안전한 광장 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서울시에서는 당선작에 대해 땅에서 들어 올려진 플랫폼(2층 광장)은 지하 공간의 지붕 역할이면서 동시에 열린 원경을 바라보는 매력적인 조망점을 제공한다고 평가하고 있으나, 강구덕 서울시의원은, “광장은 보행동선과 인근의 주요 시설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행자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며, “당선작은 공공을 위한 광장의 기능보다는 문화공간 조성에 너무 치중한 나머지 가장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다”고 언급했다.
강구덕 의원은“광장과 문화시설이 각자 제대로 된 기능을 할 수 있고,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조성될 수 있도록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하면서 “문화시설도 중요하지만 건축물보다는 지상부의 광장 조성에 초점을 더 맞춰야 할 사안”이고 “세종대로 변에서 접근이 용이하도록 광장을 지층에 조성하고 평평한 플랫폼 보다는 경사나 라운드 등을 활용하면 더욱 생동감 넘치는 공간으로 탄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강 의원은 이어 지하의 문화공간에 대해 세계적인 건축가 안도 다다오의 대표적인 작품인 지중미술관을 예를 들며, “문화공간이 광장 아래 지하에 조성되는 만큼 자연 채광 등 빛을 이용‧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