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진 유리창도 못 고치는 ‘학력인정학교’
수정 2015-12-02 11:01
입력 2015-12-02 11:01
서울시 지원없어 컴퓨터도 구비 못해... 근로청소년들 또 다른 상처
학력인정학교란 가정형편 등으로 정규학교에 진학하지 못한 근로청소년이나 성인에게 교육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교육기관이다. 또한 비행이나 교칙위반으로 학교교육의 울타리에서 떠밀려난 학생들이 다시 교육받고 자립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처럼 학력인정학교는 제도권 밖의 학생들을 지원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일례로 학력인정학교 중 하나인 ‘청량정보고’의 경우, 지난 2014년 전교생 중 47%가 전문대학 및 4년제 대학에 진학했으며 50%는 취업에 성공하는 등 ‘교육 안전망’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서울시가 이 같은 학력인정학교의 효과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어 비판의 도마에 올랐다. 현 제도상 학생들이 학력인정학교에 입학하기 위해선 기존 정규학교를 자퇴한 후 편입으로만 가능하다. 결국 학교를 옮기려는 학생들에게 ‘자퇴’나 ‘퇴학’의 낙인을 찍고서 보내는 셈이다. 장 의원은 “서울시교육청의 무관심 행정이 낳은 결과”라고 비판하며, 학생들이 학력인정학교로 전학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함을 주장했다.
게다가 이 학교들의 대부분이 ‘개인 소유’라는 이유로 서울시의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영세한 학교들은 컴퓨터나 TV모니터 같은 기본적인 교육 기자재도 구비하지 못하고 있으며, 학교 내 시설의 노후화로 안전문제까지 발생하고 있다. 교실 내부창문이 깨져있거나 학교 외벽에 금이 가는 등 학생들의 교육환경은 열악한 상태다.
장 의원은 “이 학생들도 역시 서울시의 학생들이다”라며, 서울시의 관심과 지원 및 제도 개선을 요청하며 최소한 안전과 교육환경에 관해서라도 서울시가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