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대 의대 설립해야” 57%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5-12-14 09:56
입력 2015-12-14 09:56

서울시의회 여론조사, “공공의료 서비스 강화해야” 86% 응답

서울시민의 57.4%는 서울시립대 의과대학 설립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서울의 전반적 의료환경에 대해서는 75.1%가 만족하지만, 민간에 비해 공공의료기관의 의료서비스 질은 낮다고 응답했다.

이미지 확대
서울시의회 김인호 부의장(새정치민주연합, 동대문3)은 시민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서울시립대 의과대학 설립에 대한 전화 면접조사’ 결과를 이같이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89.0%는 최근 메르스 사태와 같은 신종 전염병 확산 및 응급 상황 발생에 대비하기 위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공공의료체계 강화가 필요하다는 점에 공감했다.

또한, 기피의료분야 연구와 치료, 계층간 의료서비스 양극화 해소를 위해 공공의료체계를 더 강화해야 한다고 보는 시민들도 86.5%에 달했다. 그러나 응답자의 56.5%는 민간의료기관의 수준이 공공의료기관의 수준보다 높다고 밝혀 서울시의 공공의료서비스의 질과 시설, 장비에 있어 많은 투자가 있어야 할 것임을 시사했다.

한편, 의료서비스의 공공성 확대를 위해 서울시립대에 의과대학을 설립하자는 주장에 대해서는 찬성 의견이 찬성 57.4%로 반대 20.4%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시립의대의 중점 활동분야로는 ‘수익성이 낮은 기피의료분야에 대한 치료와 연구’ (25.4%), ‘지역간 계층간 의료서비스 격차 완화’(19.6%), ‘보건소 등 공공의료인의 육성’(17.5%), ‘메르스와 같은 신종 전염병 대비’(17.4%)의 순으로 응답했다.

김인호 부의장은 “이번 조사결과를 통해 신종 전염병 확산 등 국가적 재난상황과 의료서비스의 양극화 심화 등의 문제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서울시립 의대가 신설돼야 한다는 점에 시민들도 공감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게 됐다”며 조사 의의를 밝혔다.

김 부의장은 지난해에도 양질의 공공의료인력 양성과 시립병원 등과 연계된 맞춤형 공공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시립 의과대학 설립을 촉구하는 건의안을 대표 발의하는 등 차별 없는 건강한 삶을 위한 공공의료서비스의 질 강화를 꾸준히 주문해 왔다.



한편, 서울시립대는 메르스 사태를 계기로 공공보건의료 강화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2017년까지 보건연구와 보건의료인력의 맞춤형 재교육을 위한 보건대학원을 설립하겠다고 지난달 밝힌 바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