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형 도시재생 공공디벨로퍼가 이끈다] “전면 철거에 따른 재개발·재건축도 도시재생의 한 축”
김승훈 기자
수정 2017-04-18 23:07
입력 2017-04-18 22:28
김용호 정비사업 총괄코디네이터

현재 서울은 민간기관이 뛰어들어 재개발·재건축을 주도할 ‘사업성 있는 지역’이 없다. 사업성이 좋은 지역의 재개발·재건축은 사실상 모두 끝났다. 남은 건 달동네, 재난위험 지역 등 사업성이 전무해 민간기관이 관심을 갖지 않는 곳뿐이다. 김 총괄코디네이터는 “개발 이익이 없는 곳은 전적으로 공공기관이 맡아야 한다”며 “재난위험시설은 공공기관이 나서 그 나름의 재생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총괄코디네이터는 1977년 서울시에서 정비사업 담당자로 공직생활을 시작했다. 1982년 관 주도의 정비에서 민간 주도의 정비로 전환하는 기틀을 처음으로 마련했다. 조합이 건설사업자의 자본과 기술로 공동주택을 건설해 조합원 분양 후 잔여 가구를 일반 분양하는 방식이다. 2009년 퇴직 후에도 총괄코디네이터로 활동하는 등 40년간 정비사업 외길만 걸어온 ‘정비업계의 살아 있는 전설’로 통한다.
그는 “도시가 있는 한 정비사업은 계속된다”며 “앞으로 정비사업은 주택 개량, 기반시설 확충 등 물리적 개선과 지역 주민들의 사회·경제적 수준 개선, 이 두 가지가 맞물려 진행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7-04-19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