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영 서울시의원, 서울시향 대표에 책임감 있는 재단 운영 당부
김태이 기자
수정 2020-06-18 19:16
입력 2020-06-18 19:06
서울시립교향악단은 서울시 타 출자·출연기관과 달리 대표이사의 고유권한에 해당하는 인사·경영권을 단체협약의 교섭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음악감독, 부지휘자, 공연기획자문, 상임작곡가의 채용 및 재계약 시 노동조합의 동의를 받아야 하며, 경영본부 직원 채용 시에도 심사위원 과반을 조합이 추천하는 심사위원으로 구성해야 한다.
김 의원은 “법률자문에서도 채용 관련 조항이 적절하지 않다는 결과를 받았고, 서울시 공기업과와 문화정책과에서도 우려를 표했음에도 해당 협약을 맺은 것은 대표가 인사 및 경영에 의지가 없다고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또한 “최근 언론에 박현정 전 시향대표의 무죄 확정이 기사화되면서, 재단의 위상이 떨어지고 있는 가운데 해당 사건과 관련되어 기소된 직원들이 승진까지 하며 여전히 근무 중인 점과, 해당 안건으로 인사위원회가 한 번도 개최되지 않은 점은 대표로서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강 대표는 법률자문을 통해 인사위원회 개최를 결정하겠다고 답했다. 이에 김 의원은 “해당 안건은 재단의 위신을 떨어뜨린 행동을 징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상정되어야 할 사안이다”라고 못 박았다.
한편, 김 의원은 지난 9일에 진행된 오스모 벤츠케 신임 음악감독과의 간담회 내용을 언급하며, 소회를 밝혔다.
김 의원은 “오스모 감독은 오케스트라와 행정팀, 노조까지 원팀(One Team)을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지만, 이는 신임 감독이 그동안 산적해있는 시향의 문제들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라고 말했다. 세계적인 오케스트라들을 언급하며, 그들의 채용 및 단원평가 방식을 도입할 것을 요청한다는 것은 출연기관 자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것을 반증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김 의원은 재단 대표에게 노측과 소통을 통해 재단을 원활하게 운영하려 한다는 것을 어느 정도는 이해하지만, 기관장으로서 리더십과 책임감을 가지고 재단을 운영해 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신임 감독이 도입 요청한 채용 오디션(안)에 대해서는 시와 협의할 내용이 아니라, 지방 출자·출연기관 인사·조직 지침에 의해 불가하다는 사실을 분명히 전달할 것을 당부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