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호 서울시의원 “서울시 위급재난문자 통보체계 개선 해야”
수정 2023-06-22 10:34
입력 2023-06-22 10:31
지난달 31일 새벽, 북한 우주발사체 관련한 서울시 위급재난문자 통보 시스템 문제점, 대피소 안내 중요성 지적

이날 업무보고에서 김 의원은 지난달 31일 오전 6시 29분쯤 북한에서 남쪽으로 발사된 우주발사체와 관련해 ‘서울시의 위급재난문자 통보 시스템’의 허점을 지적하며, 북한의 우주발사체 발사 사건 당시 서울시가 발송한 위급재난문자에는 구체적인 내용과 대피소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시민들에게 큰 혼란을 일으켰다고 언급했다.
김 의원은 일본의 위급재난문자와 비교해 볼 때, “서울시의 위급재난문자가 늦게 발송됐다”라는 문제점을 제기했다. 북한의 우주발사체는 지난달 31일 오전 6시 29분에 발사했으며, 서울시의 위급재난문자는 6시 41분에 발송됐지만, 일본은 6시 30분에 이미 문자를 발송해 11분이나 더 빠른 속도로 대응했다는 사실을 거론했다.

아울러 이번 사건을 거울삼아 서울시에서는 민방공대피소 및 지진 등으로 인한 지진옥외대피소의 장소와 안내판 점검 및 설치와 대피장소 내 일정한 구급용품, 식량 등을 상시 갖출 수 있도록 당부했다.

김 의원은 “서울시를 바라보는 시민들은 위급재난 발생 시에는 그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가 안전총괄실, 소방재난본부, 비상기획관인지를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하며 “서울시는 이번과 같은 위급재난 상황이 또다시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 안전총괄실이나 소방재난본부, 비상기획관실 중에서 어느 한 부서를 재난컨트롤타워로 조속히 구축하여 향후 재난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함으로써 천만 서울시민이 두 번 다시 혼란과 불안감이 없도록 조치해 주길 요청한다”고 강력히 당부했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