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철 서울시의원 “부서 간 용역 내용 중복되지 않도록 유념해야”
수정 2023-06-26 09:53
입력 2023-06-26 09:53
“용역 간 내용 중복은 예산의 중복과 연계됨을 인지해야”
부서 간 긴밀한 협의 통해, 용역 중복으로 인한 예산 낭비 방지 요청

김 의원은 ‘친환경계획 관련 지구단위계획 수립기준 및 인센티브 제공방안 마련’ 용역과 ‘지구단위계획 용적률 체계 개선방안 수립 용역’의 내용에 대해 질의하며 발언을 시작했다.
‘친환경계획 관련 지구단위계획 수립기준 및 인센티브 제공방안 마련’ 용역은 상한용적률 적용 기준 개선을 통해 서울시 친환경 정책 실현을 위한 실효성 있는 도시계획적 지원방안을 목적으로 하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ZEB(Zero Energy Building) 등 친환경 항목 도입 시 상한용적률 적용 확대 ▲미세먼지 저감장치, 재활용 보관시설, 녹색건축자재 등 친환경 정책 실현을 위한 신규 허용용적률 인센티브 항목 발굴이다.
‘지구단위계획 용적률 체계 개선방안 수립’ 용역은 유연하고 친숙한 도시계획으로의 전환 및 2040 도시기본계획 실현을 위한 지구단위계획 용적률 체계 개선을 목적으로 하며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건축법상 공개공지, 녹색건축법상 제로에너지 빌딩 등, 개별 법령에 따른 용적률 완화기준 상한용적률 적용 방안 다양화 검토 ▲조례 용적률 범위 내에서 운영 중인 허용 용적률 상향 조정으로 인센티브 확대 ▲비욘드조닝 구현을 위한 용도·밀도 분리 등 용적률 체계 전환방안 마련이다.
김 의원은 “두 용역 내용 중 ‘상한 용적률 적용방안’과 ‘허용용적률 인센티브 운영범위 확대’ 내 ‘친환경 항목’에 대해 같은 내용을 중복해 수행하는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이에 조남준 도시계획국장은 “‘지구단위계획 용적률 체계 개선방안 수립’ 용역은 지구단위계획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검토하고 있는바, 먼저 진행된 ‘친환경계획 관련 수립 기준 및 인센티브 제공방안 마련’ 용역을 기반으로 추가 보완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해주시기를 바란다”라고 답변했다.
마지막으로 김 의원은 “용역 간 내용의 중복은 예산의 중복과 연계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용역 내용을 계획할 때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향후 용역 수립 시, 각 부서 간에 긴밀한 협의를 통해서 용역 내용 범위가 중복되지 않도록 잘 조율해 예산 낭비가 없도록 유념해 달라”고 당부했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