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호 서울시의회 정책위원장, ‘포스트코로나시대 소기업 소상공인 지원·골목상권활성화 정책포럼’ 개최
수정 2023-07-13 09:28
입력 2023-07-13 09:28
포스트코로나시대 소상공업 트렌드 분석과 소상공인 생존전략 제시
서울시 소상공인 정책효과 분석 통한 효과적 지원정책 발굴방안 모색
골목상권 지원 사업 패러다임 전환과 활성화 전략 추구
서울시소기업소상공인연합회, 전통시장상인회 등 300여명 참여
현장 목소리 담은 토론회…사후 정책입안 기대

이날 행사에는 서울시의회 정책위원회 위원, 서울시 관계자, 학계·현장 전문가를 비롯해 서울시소기업·소상공인과 전통시장상인 등 300여 명이 참가해 열띤 정책 토론이 이뤄졌다.

내빈으로는 박인복 한국소기업소상공인연합회장, 남창진 서울시의회 부의장, 이숙자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 위원장, 강철원 서울시 정무부시장, 박인선 중앙대 창업교육지원센터장이 참석해 축사를 통해 서울시 소기업·소상공인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했고, 사회는 홍국표 정책위원회 제1소위원장이 맡아 진행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중소기업중앙회 서울지역본부, 서울시소기업소상공인연합회, 전통시장상인회에서 참석하여 최일선에서의 현장목소리를 생생히 들을 수 있었다. ▲중소기업중앙회 장윤성 서울지역본부장은 소기업·소상공인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한 노란우산공제 확대, 온라인 플랫폼의 불공정행위 근절대책, 소비트렌드 변화에 맞춘 소상공인간 협업촉진 및 경쟁력 강화방안 등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했으며 ▲서울시소기업소상공인연합회 양택균 회장은 소기업·소상공인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인력 및 사무공간 지원 등 실질적인 지원방법이 필요하고, 소기업·소상공인들의 생계형 업종을 지정해 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제도적으로 보호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용산용문시장상인회 반재선 회장은 기존의 획일적 지원에서 벗어나, 전통시장과 상점가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지원책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외에도 객석에서 질의응답을 통해 쇠퇴하는 종로구 쥬얼리상가에 대한 마케팅 및 교육지원, 고령화로 지원정책 접근이 어려운 소상공인을 위한 신청절차의 간소화, 소상공인 지원사업 현장홍보 강화, 전통시장 및 골목형상점가 지정요건 규제완화 등 다양한 현장 목소리가 봇물 터지듯 쏟아지는 등 장시간 의미있는 토론이 이어졌다.

11월 5일은 “소상공인의 날”로 서울시 약 130만명에 달하는 우리 소기업과 소상공인들에게는 매우 의미있고 뜻깊은 날이므로 올해에는 서울시에서 처음으로 우리 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이 한자리에 모여 ‘소상공인의 날’을 자축하는 ‘소기업·소상공인 氣살리기 패스티벌’을 개최한다고 하며, 서울시 소기업인들과 소상공인들이 꿈과 용기를 잃지 않고 재도약할 계기를 마련하겠다고 약속하며 포럼을 종료했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