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복자 서울시의원, 이동노동자들은 찾지 않는 이동노동자쉼터 질타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23-11-07 16:07
입력 2023-11-07 16:07

야간에 주로 활동하는 이동노동자는 갈 수 없는 9 to 6 이동노동자쉼터
“대리기사 등 접근성 높은 스마트버스정류장이 더 용이…현장 목소리 들어야”

이미지 확대
신복자 서울시의원
신복자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 신복자 의원(국민의힘·동대문4)이 지난 6일 열린 제321회 정례회 노동공정상생정책관 행정사무감사에서 행정편의적인 이동노동자쉼터 운영을 질타하고, 스마트버스정류장 확대 등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대안 마련을 요구했다.

이동노동자쉼터는 고정된 사업장이 없는 이동노동자의 휴식권 및 건강권 보호를 위해 운영하는 쉼터이다. 시립 거점쉼터 5곳과 구립 간이쉼터 6곳이 운영 중이다. 쉼터 운영에 연간 14억원 이상의 예산이 지출되고 있다.

쉼터 운영은 대부분 9 to 6(6곳)이며, 토요일에 문을 여는 곳은 단 4곳이다. 강남쉼터 단 2곳만 24시간 연중무휴로 운영한다. 대리운전기사, 배달기사 등 이동노동자를 위한 쉼터인데 정작 이들이 가장 활발하게 움직이는 주말과 피크타임에는 문을 닫는 것이다. 방문객도 저조하다. 올해 9월 말 기준 녹번쉼터 2146명, 상암쉼터 2217명, 북창쉼터 7820명이 방문했다.

신 의원은 박재용 노동공정상생정책관에게 “이동노동자는 이용할 수 없는 이동노동자쉼터가 누구를 위한 쉼터인지 모르겠다”라며 “사업의 대상인 이동노동자가 아닌 운영자의 편의에 초점을 맞춘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라고 질타했다.

신 의원은 “대리기사 등 이동노동자들은 접근성이 떨어지는 쉼터보다 접근이 쉽고, 24시간 운영하며, 냉·난방 및 편의시설까지 갖춰진 스마트버스정류장을 더 선호한다”는 현장의 목소리를 전하며 “일방적인 사업이 아니라 이동노동자들의 요구를 반영해 쉼터 사업을 재검토하라”고 주문했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