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춘곤 서울시의원 “BIM 설계, 업체에 과중한 부담 되지 않도록 관리할 것”
수정 2023-11-15 11:22
입력 2023-11-15 11:21
조달청 2011년부터 3차원 BIM 설계 적용한 것에 비해 서울시 뒤늦게 도입 중
좋은 기술은 국토부 지침 기다리지 말고 선제적 도입 필요

김 의원은 BIM 3차원 설계기법이 기존의 CAD를 이용한 설계보다 한 단계 진화한 기술이고 BIM을 통해 시공 중 간섭사항 점검이나 공동 협업, 시뮬레이션까지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조달청이 2011년부터 적용하고 있는 것에 비해 서울시는 2024년에 적용지침 수립을 완료하고 2025년에 본격적인 적용이 예상된다며 도입이 늦어진 부분을 지적했다.
또한 김 의원은 2022년 12월 조달청에서 BIM 설계를 건축물의 모든 부재가 아닌 발주청이 지정한 건축물의 주요 부분에 집중하도록 한 것과 모든 배관에서 중요 배관으로 대상 설계를 축소한 개선안이 서울시 BIM 적용지침 수립 용역에 반영됐는지를 묻고 반영할 것을 요청했다.
이어 김 의원은 현재는 보유하고 있지 않은 BIM 소프트웨어의 보유 계획과 운영을 담당하는 공무원의 교육계획에 관해 묻고 갑작스러운 도입으로 기존 설계업체에게 과중한 부담이 되지 않도록 조절을 당부했다.
기술심사담당관은 소프트웨어 구매와 직원 교육계획을 BIM 적용지침 수립 용역에 포함해 검토 중이여 초기에는 대형 사업 중심으로 도입하고 내용, 설계기법, 성과물 관리 등의 운영 방법이 정립되고 BIM 과업에 따른 비용이 낮아진 후에 적용 대상 범위를 넓혀 일반·보편화할 예정이라고 답변했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