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희 서울시의원, 서울시에 전시성 사업 예산 낭비 대신 시민 위한 예산 집행 당부
수정 2023-11-20 10:47
입력 2023-11-20 10:47
노들섬 재구조화 사업 및 책 읽는 서울광장·광화문 책마당 사업 혈세 낭비 문제 지적
신림선 서울대벤처타운역 삼성동 방향 출입구 신설, 역사와 서울창업허브 관악 간 지하 연결 필요성 강조

노들섬 글로벌 예술섬 조성 사업은 민선 8기 시장 역점 사업으로 노들섬 재구조화를 통한 글로벌 문화예술 랜드마크 조성을 위해 추진되고 있다. 특히 도시건축 디자인 혁신 제1호 사업으로 선정되면서 선(先)디자인 후(後)사업계획 수립 방식을 적용했다.
유 의원은 “선(先)디자인을 위해 서울시가 국내·외 건축가에게 지급한 초정비가 무려 10억 1000만원에 달한다”라고 언급하며 583억원을 들여 개장한 지 4년밖에 안 된 지금의 노들섬에 또다시 3000억원을 들여 재구조화하겠다는 것은 시민의 혈세 낭비라고 지적했다.
이어 강한 기념비성과 상징성을 보여줘야 한다는 강박으로 대대적 공사를 통해 노들섬을 랜드마크화 하려고 하지 않아도 시민 편의를 고려한 섬세한 개선을 통해 충분히 노들섬을 글로벌 예술섬으로 도약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➀노들역부터 노들섬까지 걷고 싶은 길 조성해 국내외 관광객의 도보 접근성 향상 ➁주차장 진입로 개선 통한 교통혼잡 문제 해소 ➂기계식 주차타워 설치 통한 시민 이용 편의 개선

유 의원은 “신통기획 추진으로 신림1·2구역에 곧 5500세대가 새롭게 들어설 예정이다. 서울대벤처타운역 이용 수요를 고려하면 삼성동 방향 출입구 신설이 꼭 필요하며, 관악S밸리 활성화를 위해 서울대벤처타운역 2번 출구와 서울창업허브 관악(2028년 준공 예정)의 지하 연결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오세훈 시장은 서울대벤처타운역 삼성동 방향 출입구 신설 필요성에 대해 공감한다고 말하며, 2번 출구와 서울창업허브 관악의 지하 연결 사업도 경제성 및 타당성에 대해 검토해보겠다고 답변했다.
마지막으로 유 의원은 서울도서관의 행사성 경비 과다 증액 및 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에 대한 운영 지원 축소 문제에 관한 질문을 이어 나갔다.
유 의원은 “자치구 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에 대한 운영지원 축소는 당연히 자료 구입비 축소로 이어지고, 이는 대시민 도서관 서비스 질 저하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라고 언급하며, 서울시가 주민과 가까운 곳에 있는 자치구 공공도서관 및 작은도서관 운영 지원에 소홀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끝으로 “일상 공간에서 책을 즐긴다는 콘셉트를 통해 독서 문화를 확산하고자 하는 책읽는 서울광장 및 광화문 책마당의 사업 취지에는 공감한다”라고 말하면서도, 문화본부가 보여주기식 행사를 위해 1년에 75억원을 쏟아붓는 대신 자치구 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 지원을 확대해 25개 자치구 모든 시민이 양질의 도서관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예산안을 심사하겠다”고 밝혔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