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균 서울시의원 “체육 인프라 사각지대 강북, 舊수유 영어마을 부지 ‘복합 스포츠파크’로 재탄생해야”
수정 2025-06-30 12:07
입력 2025-06-30 12:07
이 의원, 제331회 정례회 5분 자유발언에서 강북구 체육시설 확충 촉구
강북구 서울시 자치구 중 체육시설 인프라 최하위...옛 수유 영어마을 부지, 스포츠파크 조성만이 유일한 해법 강조
25개 자치구 중 공공체육시설 8개 ‘최하위’...주민 건강권 침해 심각
“강북구민의 건강권 지키는 마지막 기회, 서울시가 적극 나서야”

서울시의회 이용균 의원(더불어민주당, 강북3)은 지난 26일 제331회 정례회 제4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강북구의 열악한 체육 인프라 현실을 지적하고, 舊수유 영어마을 부지를 복합 스포츠파크로 조성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 의원은 “강북구는 북한산 국립공원의 수려한 자연환경을 자랑하지만, 개발제한구역과 국립공원 보호구역이라는 이중 규제로 인해 체육 인프라 확충에 심각한 제약을 받고 있다”라며 “이에 따라 강북구는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체육시설 인프라가 가장 열악한 도시로 전락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강북구의 공공체육시설 수는 고작 8개로, 서울시 평균(18.5개)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송파구(34개), 금천구(33개), 마포구·광진구·구로구·성동구·강남구(26~28개) 등과 비교해도 현격한 차이를 보이며, 종로구(7개)와 함께 서울시에서 체육시설이 가장 적은 두 곳 중 하나다.
이 의원은 “이 수치는 단순한 통계가 아니라, 강북구 주민들이 운동 한 번 하려면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하고, 낡고 협소한 공간에서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 현실을 보여준다”라며 “어린이와 청소년은 마음껏 뛰어놀 체육관이 없고, 어르신들은 건강을 지킬 운동시설을 찾기 어렵다”고 호소했다.
특히 이 의원은 “이것이 바로 명백한 건강권 침해이자, 도시 불균형의 상징”이라고 지적하며 “강북구민의 마지막 희망인 舊수유 영어마을 부지에 세대와 계층을 아우르는 운동장이 있는 복합 스포츠파크를 반드시 조성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 의원은 “강북구는 서울시에서 대형 운동장이 단 하나뿐인 유일무이한 지역”이라면서 “더 이상 ‘운동장 없는 도시’, ‘체육시설 소외구’라는 오명을 강북구민에게 안길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서 “북한산의 수려한 자연과 어우러진 스포츠파크는 주민 모두가 함께 숨 쉬고, 뛰고,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진정한 공공서비스”라며 “지금이야말로 강북구의 미래를 바꾸고 서울시의 진정한 균형 발전을 실현할 수 있는 결정적 기회”임을 강조했다.
끝으로 이 의원은 “강북구민의 절박한 염원을 더 이상 외면하지 말고, 서울시가 복합 스포츠파크 조성에 적극 앞장서 줄 것”을 강력히 촉구하며 발언을 마무리했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