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공항 개항 2년 앞당겨야… 개발 이익 주민과 공유할 것”
류찬희 기자
수정 2015-11-26 03:36
입력 2015-11-25 23:16
원희룡 지사 “공공 주도 ‘에어시티’ 조성… 토지허가구역 확대 고려”

제주도청 제공
원 지사는 제2공항 주변을 공공 주도의 ‘에어시티’로 조성하고 이를 통해 개발이익이 지역주민에게 돌아가야 한다는 주장도 내놓았다. 원 지사는 “공공 개발이 이뤄지지 않으면 공항 담벼락 밖 유채밭을 내버려두고 민간이 와서 개발하라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주변을 도시계획으로 묶는 생각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원 지사는 ‘프리포트’(free port) 카드도 내놓았다. 그는 “제2공항을 금융특화 구역으로 연계 개발해 입국대를 통과하기 전에 역외금융이 가능하고, 관세에서 자유로운 사업구역으로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제주의 지리적 인접성, 중국 공권력이 미치지 않는 점, 자본주의 국가의 안전한 자산 체계, 이런 것들을 바탕에 두고 연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원 지사는 공항이 들어설 지역 주민들의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이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해당 지역 주민들은 본인들만 피해 보고 이득은 다른 사람이 보는 게 아닌가 하는 불안감이 큰 상태”라며 “진정성을 갖고 끈질기게 주민들의 실질적 내용에 초점을 맞춰 잘 풀어가고 공항이 원만하게 건설되도록 주민 설득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원 지사는 주변 땅값이 들썩이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확대할 것인지 심각하게, 실시간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제주도는 성산읍 전체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했고 서귀포시는 보상금을 노린 불법 개발행위를 막고자 합동단속반을 운영하고 있다.
제2공항의 24시간 운영에 대해서는 “소음피해지역 주민은 절대 반대하고, 관광업계는 반드시 해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제주도의 발전을 위해 좋은 방향으로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5-11-26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