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에너지·문화 산업과 연계… 광주를 아시아 디자인 허브로”
최치봉 기자
수정 2017-07-13 23:59
입력 2017-07-13 22:42
윤장현 시장이 말하는 ‘광주 비엔날레’

-인공지능 진화 등 기술 혁신은 인간의 삶을 송두리째 바꿀 것이다. 광주디자인비엔날레는 이런 시대를 관통하는 디자인의 세계적 흐름을 접할 기회다. 우리나라의 모든 산업 분야에서 디자인의 역할과 현주소 등을 되돌아보고, 이를 생산 현장에 어떻게 적용할지를 모색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광주디자인비엔날레가 해를 거듭할수록 주목받는 이유는.
-디자인은 우리 생활 속에 살아 숨 쉬는 감성과 공감, 창조의 에너지다. 가전 등 생활제품, 자동차, 건축물 등 모든 분야에서 우리가 감성을 느낄 수 있는 것은 디자인이 있기에 가능하다. 디자인은 역사와 전통, 문화를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미래사회를 설계하는 데도 중요한 요소다. 동서양의 가치를 융합하고,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수단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세계인들이 동양권에 유일하게 자리잡은 광주디자인비엔날레에 큰 관심을 갖는 것도 이 때문이다.
→광주의 전략 산업 육성 정책과의 연관성은.
-민선 6기 들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할 미래형 산업 육성에 ‘올인’했다. 친환경자동차, 에너지, 문화 콘텐츠 산업이 핵심 분야다. 올 행사에서도 이 미래산업들과 관련된 전시도 다양하게 준비 중이다. 제품과 일자리 등 미래 디자인의 다양한 역할과 비전을 보여 줄 것으로 기대한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연계 방안은.
-아시아문화전당은 지역의 소중한 자산이다. 올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일부 전시를 문화전당에서 연다. 내년에 열리는 광주비엔날레도 문화전당을 활용할 계획이다. 행사 기간 내내 전당 주변에서는 프린지페스티벌 등 각종 문화 행사를 곁들여 축제의 중심지로 만들 계획이다.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
2017-07-14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