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 공직자 10명 중 6명 재산 늘었다
수정 2014-03-29 03:21
입력 2014-03-29 00:00
2380명 평균 13억2000만원
국회·대법원·헌법재판소·정부·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공직자윤리위원회는 28일 고위공직자 2380명의 정기재산변동 신고 내용을 관보에 공개했다. 재산을 신고한 국회의원(500억원대 이상 자산가 4명 제외), 법관, 고위공무원, 중앙선관위원 등 2335명의 평균 재산은 13억 2000여만원이다. 고위공직자의 60.8%인 1423명은 재산을 불렸다. 이 가운데 18.2%는 1억원 이상 늘었다. 박근혜 대통령은 급여와 인세 등으로 1년 만에 2억 7497만원이 늘어난 28억 3358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정홍원 국무총리는 전년과 비슷한 18억 7979만원이다.
고위 법관과 헌법재판관 등 사법부 고위 인사 156명의 평균 재산은 20억원으로 42.9%가 재산이 늘었다. 법무부와 검찰 고위 간부들은 평균 17억 2000만원의 재산을 보유했다. 김경수 부산고검장의 재산이 63억원으로 가장 많아 중앙부처 전체 공무원 중 상위 10위를 기록했다.
평균 재산은 법관이 가장 많고 이어 국회의원(18억 1000만원), 헌법재판관(17억 900만원), 행정부 소속 공무원(11억 9800만원) 순이다. 전국 15개 시·도 교육감의 평균 재산은 12억 4000만원으로 17개 시·도지사의 14억원보다 많았다. 문용린 서울시 교육감은 선거비용을 대느라 재산이 7억여원 줄었다고 밝혔다.
주요 고위공직자 재산 꼴찌는 박원순 서울시장이 기록했다. 박 시장은 3년 연속 마이너스인 재산을 신고했으며, 올해는 전년보다 9127만원이 줄어든 -6억 8601만원을 신고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박 시장의 배우자가 사업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채무액이 늘었고 장남의 결혼과 유학 등으로 지출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2014-03-29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